★★ 셀루커스 왕조 셀루커스(Selucus) 왕조시대 셀루커스 1세에 의해서 세워진 시리아의 통치자들은 오론테스강의 안디옥을 그 수도권으로 삼았다. 안티오커스(Antiochus) 3세[대왕]는 이집트와 수 차례의 전쟁을 거쳐, BC 199년 요단강의 발원지인 파니아스(가이사랴 빌리보) 근처의 전투에서 이집트의 스코파스(Scopas)군에게 ..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6.01
안티오코스 3세와 4세 안티오코스 3세[Antiochus III] 본문 별칭은 Antiochus the Great, Antiochus Megas.[안티오코스 대왕] BC 242~187 이란 수사 근처. 헬레니즘 시리아 왕국의 셀레우코스 왕조의 왕(BC 재위 223~187, 36년간). 그는 안티오코스 2세와 라오디케의 손자로, 셀레우코스 2세(BC 246~225 재위, 21년간)의 차남이다.[형인 셀레우코스 3세(BC ..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6.01
셀루커스 왕국[사진] 셀루커스 1세 안티오커스 1세의 무덤 터키 중부 넴루트 다이(Nemrut Dag)에 있는 안티오커스 1세의 무덤.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6.01
★ 셀루쿠스(Selucus) 왕조시대<톰슨성경> 셀루쿠스(Selucus) 왕조시대<톰슨성경> 셀루쿠스 1세에 의해서 세워진 시리아의 통치자들은 오론테스강의 안디옥을 그 수도권으로 삼았다. 안티오쿠스 3세[대왕]는 이집트와 수 차례의 전쟁을 거쳐, BC 199년 요단강의 발원지인 파니온 근처의 전투에서 승리함으로써, 이집트로부..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30
★ 톨레미 왕조시대 <톰슨성경> 톨레미 왕조시대 알렉산더가 죽은 후, 유대는 처음 얼마동안 안티고누스 1세의 지배하에 놓여 있다가, 곧 이어 톨레미 1세가 통치하게 되었다. 톨레미는 비록 BC 320년 안식일에 예루살렘을 함락시켰으나, 유대인들을 퍽 호의적으로 다루었다. 그리하여 많은 유대인들이 알렉산드리..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30
★ 알렉산더 대왕시대 <톰슨성경> 알렉산더는 단순히 권력에만 광분한 독재자는 아니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제자인 그는 헬라문화야말로 세계를 통일할 수 있는 한 원동력임을 철저하게 확신하고 있었다. 알렉산더와 유대인 사이에는 퍽 우호적 관계가 형성되었던 것 같다. 알렉산더는 유대인들로 하여금 그들의 율법을 지키도록 허..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29
★ 신구약 중간사(2)-1. 헬라제국 2. 프톨레미왕조 3. 셀루커스왕조 신구약 중간사(2)- 1. 헬라제국 2. 프톨레미왕조 3. 셀루커스왕조 1. 알렉산더 대왕의 헬라제국시대 BC 333년 잇수르 전투에서 대승을 거둔 알렉산더 대왕은 연이어서 페르시아 제국을 점령하였다. 이 사건은 헬라문명이 근동지역에 강력한 변화를 가지고 온 계기가 되었다. 그는 자기가 정복한 나라들에 ..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29
★1. 신구약 중간사-신약의 배경은 중간사에서 나온다. 신구약 중간사-신약의 배경은 중간사에서 나온다. 우리 몸에서 허리의 역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마찬가지로, 구약 성경과 신약 성경을 연결해 주는 부분이 바로 신구약 중간사이다. 이처럼 신구약 중간사는 우리 몸의 허리처럼 중요하다. 필자는 신약의 배경은 구약이기 ..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28
★★2. 알렉산더 대왕과 헬라제국에 관한 성경의 예언 알렉산더 대왕과 헬라제국에 관한 성경의 예언 1. 다니엘 2장 2장 1절 "느부갓네살이 다스린지 이 년이 되는 해에 느부갓네살이 꿈을 꾸고... 32절 그 우상의 머리는 정금이요 가슴과 팔들은 은이요 배와 넓적다리는 놋이요 39절 왕을 뒤이어 왕보다 못한 다른 나라가 일어날 것이요 셋째로 또 놋 같은 나..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28
★ 알렉산더 대왕의 주요 전투 1. 즉위 전후의 국내 주요전투 2. 페르시아 군과의 주요 전투 그라니코스 강 전투 [― 江戰鬪, Battle of the Granicus]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이 페르시아 제국을 침략해, 첫 승리를 거둔 전투(BC 334 초여름). 페르시아군 약 4만 명이 그라니코스 강(지금의 마르마라 해로 흘러들어가는 코카바스 강) 맞은.. ◈성경연구·강해[종합]/중간사 2007.05.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