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운나 ICU총장-미스라 인도 IIT총장 대담 허운나 ICU총장-­미스라 인도 IIT총장 대담 2007/06/28 “우수한 인력을 보유한 한국이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인도에 밀리는 것은 교육방식의 차이 때문일 것이다.” 27일 허운나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 총장이 국제 공동 연구 및 학생교류 협력 협정 체결차 ICU를 찾은 아쇼크 미스라 뭄바이 인도공..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6.29
교장 돼서도 수학대회 입상자 대거 배출 교장 돼서도 수학대회 입상자 대거 배출 남원 용성중 선종무 교장 [조선일보] 2007년 04월 26일(목) 오전 00:59 전라북도에는 ‘미다스의 손’이라는 별명을 가진 교사가 한 명 있다. 닿은 물건이 황금으로 바뀌는 것은 아니지만 그가 옮기는 학교마다 수학 경시대회 수상자가 쏟아진다. 전국 수학 경시대..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4.26
`의문 푸는 과정 즐기세요 과학이 재미있어질 겁니다` `의문 푸는 과정 즐기세요 과학이 재미있어질 겁니다` [중앙일보] 노벨화학상 콘버그 교수, 한국 고교생 만나다 건국대 석학교수로 취임한 콘버그 교수가 건국대 새천년관 대공연장에서 한국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연을 마친 뒤 단상으로 올라온 학생들과 이야기를 하며 활짝 웃고 있다.강정현 기..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4.12
`실험 즐기면 누구나 과학영재 될 수 있어` `실험 즐기면 누구나 과학영재 될 수 있어` [중앙일보] 노벨화학상 받은 로저 콘버그, 건국대 석학교수로 첫 강의 지난해 노벨화학상을 받은 로저 콘버그(60)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가 9일 건국대 석학교수에 임명됐다. 노벨상을 받은 학자가 국내 대학 교수가 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콘버그 교수..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4.10
[Family리빙] `기억력 천재` 유대인 에란 카츠 [Family리빙] `기억력 천재` 유대인 에란 카츠 [중앙일보] `두뇌의 차이? 상상력의 차이죠` 관련링크 [Section] family "유대인은 전 세계 인구의 0.25%에 불과하지만 노벨상 수상자의 40%나 차지할 정도로 우수성을 자랑합니다. 유대인이라고 해서 다 높은 지능을 갖고 태어나는 건 아니지요. 중요한 건 유전자가..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3.22
두렵다, 에코의 눈빛 두렵다, 에코의 눈빛 외부 모임에서 명함을 건네면 바로 돌아오는 인사가 있다. "아, 국민일보에 계시는 군요, 큰 일 했습니다!" 논문 표절에 대한 젊은 기자들의 끈질긴 보도는 학계에 큰 메시지를 던졌다. 관행의 늪에 묻혀있던 캠퍼스의 정직성 문제를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우리 학문 수준을 30년 ..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2.28
`시스템 바꿔야 이공계 산다` `시스템 바꿔야 이공계 산다` `포스텍 수석 서울대 의대행` … 오세정 학장의 제언 외환위기 이후 연구원 정년 축소 이공계는 힘이 없다는 생각 자리잡아 "출구를 틔워줘야 입구에 몰리지 않겠나. 이공계 위기를 타개하려면 결국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 서울대 자연대 오세정(사진) 학장은 27일 이공계 ..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2.28
[한마당―이강렬] 한국맘―유대맘 업데이트 : 2007.02.25 18:36:37 [한마당―이강렬] 한국맘―유대맘 성공한 자녀교육 모델인 미국 예일대 법대학장 고흥주 박사의 어머니 전혜성씨는 미국에 살면서도 ‘아시안 맘’처럼 아이를 키우지 않았다. 6남매 모두를 하버드 등 미 명문대 출신으로 만든 그는 아이들에게 공부하라는 말을 해본 적이 ..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2.26
[에세이―이선이] 시작과 성공 업데이트 : 2007.02.25 18:36:00 [에세이―이선이] 시작과 성공 지난 1월은 내내 희비가 엇갈린 달이었다.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과 그렇지 못한 학생들의 소식을 전해 듣고, 기뻐해야 할지 안타까워해야 할지 모르는 입장에서 반반의 감정으로 지내야만 했다. 2월에 접어들어 그 엇갈리는 감정이 정리될 즈음..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2.26
똑똑하다” 칭찬받은 아이가 학습의욕 처져 "똑똑하다” 칭찬받은 아이가 학습의욕 처져 美 초등5년생 400명 연구 이태훈기자 libra@chosun.com 입력 : 2007.02.16 00:10 “‘똑똑하구나’ 대신 ‘노력했구나’라고 칭찬해 주세요.” 지적 능력을 칭찬받은 아이들은 주어진 과제를 쉽게 포기하며, 학습 의욕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고 주간 뉴욕매거진 19.. 敎育학습科學心理 2007.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