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1세 아르타크세르크세스[아닥사스다]1세 [Artaxerxes I] 롱기마누스 ?~BC 425 엘람 왕국 수사. 고대 페르시아 아케메네스 왕조의 왕(BC 465~425 재위, 40년간). 별명은 그리스어로 마크로케이르('긴 손')였고, 라틴어로는 롱기마누스였다. 그는 크세르크세스 1세와 아메스트리스의 둘째아들로 태어났지만, 크세르크세.. 偉人*人物 2006.09.19
다리오 1세 [베이스툰 석비] -성경과 페르시아 - 다리오 1세 [베이스툰 석비] -성경과 페르시아 - 우리가 성경을 통하여 알고 있는 다리오(주전 522~486년)는 흔히 ‘대제’라는 수식어를 붙여 부른다. 그는 파르티아의 분봉왕 히스타스페스의 아들로, 주전 522년 왕좌에 올랐다. 그는 왕좌에 오르기 전, 캄비스스(Cambysrs) 2세의 이집트 정벌때 에는 그 유명.. 偉人*人物 2006.09.19
다니엘서 5, 6장에 나오는 메대사람 다리오의 정체 다니엘서 5, 6장에 나오는 메대사람 다리오의 정체 메대 제국의 역사적 배경과 다리오 [메대 사람 다리오가 나라를 얻었는데 때에 다리오는 육십 이세였더라. 다리오가 자기의 심원대로 방백 일백 이십명을 세워 전국을 통치하게 하고 ] (단 5:31, 6:1). 메대 제국의 다리오 왕은 페르샤 제국의 고레스 대.. 偉人*人物 2006.09.19
에스더 에 스 더 블로그 > 쉴만한물가 http://blog.naver.com/mokpojsk/120012091586 개요 에스더는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 간 베냐민사람 아비하일의 딸이었습니다. 그녀는 조실부모하고 사촌 오빠인 모르드개 아래에서 양육받았고 바사의 수도인 수산에 거주하다 아하수에로의 왕비로 간택되어 유다 민족을 위기에서 .. 偉人*人物 2006.09.19
[페르시아 기행] 1. 제국 건설한 고레스 왕의 무덤 [페르시아 기행] 1. 제국 건설한 고레스 왕의 무덤 이란은 1979년 호메이니의 이슬람 혁명 이후, 활발하게 진행되던 고고학 발굴을 금지시켰고 특히 서양학자들의 방문을 극히 제한하고 있다. 7세기 이슬람 종교 이전의 문화는 극복돼야 할 대상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이다. 하버드 대학에서 쐐기문자 등 .. 偉人*人物 2006.09.18
페르시아제국 [Persian Empire] 페르시아제국 [Persian Empire] 이란에 아케메네스 왕조를 세운 페르시아인이 지배한 고대 오리엔트의 대제국(BC 550~BC 330, 220년간 존속). 페르시아라는 명칭은 이란 남서부 지방의 옛 명칭 파르스(Fārs)에서 비롯되었으며, 이곳이 아케메네스 왕조의 발상지였으므로 이 고대제국의 통칭이 되었다. BC 81.. 偉人*人物 2006.09.17
페르시아(바사)제국 페르시아(바사)제국 바사의 본거지는 인더스, 티그리스강 사이의 이란 고원으로 이곳에 는 BC1500년경 아리안족이라 하는 인도, 유럽족이 살고 있었는데, 이 아리안족은 두갈래로 나뉘어져 하나는 인도쪽으로, 다른 하나는 서쪽의 기름진 새달(비옥한 초생달 지역)에 이르렀는데, 이곳에서 메대와 파사.. 偉人*人物 2006.09.16
이집트 고대사 [Egypt, history of ancient] 이집트 고대사 [Egypt, history of ancient] 고대 이집트의 역사. 개요 고대 이집트(왕조 이전 시대~비잔틴 시대) (위쪽 지역)나일 강 삼각주 ... 고대 이집트는 아프리카 북동부 사막에 있는 오아시스에 비유될 수 있으며, 해마다 범람하는 나일 강의 홍수에 의존해 농업이 이루어진다(→ 경제체제). 또한 주로 .. 偉人*人物 2006.09.11
이집트 역대 파라오 年代表 이집트 역대 파라오 年代表 호소카와(ekstla33) http://cafe.naver.com/history7/363 선왕조(先王朝) 시대(Predynastic Period) BC 3300 ~ 3150 상(上)이집트 - 수도 : 티스 하(下)이집트 - 수도 : 멤피스(Memphis) 초기 왕조 시대(Early Dynastic Period) BC 3150 ~ 2690(제1 ~ 2왕조) <제1왕조> - 수도 : 티스 → 멤피스 1. 메네스(Menes) = 나르.. 偉人*人物 2006.09.10
디아도코이 (후계자 전쟁) 알렉산더 사후 헬레니즘의 상황 출처 : mindllove님의 블로그 * 타락이라고 하는 것이 무엇인가요? 알렉산더의 죽음이후의 상황은 어쩌면 서로의 야심으로 둘러싼 권신간의 대립으로 보셔야 될듯합니다. 전에 카페에 기고한 글이 있기에 올렵봅니다. 이 글은 "역사속의 전쟁사"라는 카페글임을 먼저 밝힙니다. 기원전 323년에 알렉산더가 갑자기 죽은 지 14년 내에, 그의 적자인 알렉산더 4세와 그의 서자인 헤라클레스가 모두 암살당하였다. 그의 동생인 필리포스 아리다이오스 3세는 7년도 채 통치하지 못하고, 기원전 317년 알렉산더의 어머니 올림피아스의 사주에 의해 살해 당하였다. 알렉산더의 아들 알렉산더 4세는 기원전 311년까지 통치하다가, 그 해에 아버지의 장군 중의 한 사람인 카산드로스의 손에 죽임을 .. 偉人*人物 2006.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