偉人*人物

노예해방과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 1759-1833)

영국신사77 2007. 3. 22. 00:12
         노예해방과 윌버포스(William Wilberforce, 1759-1833)

 

웨슬리의 표현대로 “소름끼치는 악행”인 노예매매와 노예제도는 1807년의 ‘노예매매 폐지법’(The Abolition Act) 1833년의 ‘노예해방 법령’(The Emancipation Act) 통해 종식을 고하게 되었다. 웨슬리가 뿌려 투쟁의 씨앗이 결실을 거두게 것이었다. 1833년의 노예해방 법령은 1834 8 1일을 기하여 대영제국 전체에 발효되었는데, 이에 대해 브레디는 다음과 같이 극적인 서술을 하고 있다.

7 31 밤에 식민지 지역에서는 교회와 채플(비국교도들의 교회당) 문들이 모두 열려졌고, 노예들이 안으로 몰려들어 대만원을 이루었다. 자정이 다가오자 그들은 무릎을 꿇고 장엄한 순간을 기다리며 조용히 기도를 드렸다. 교회당의 시계가 12시를 알리는 종소리를 울리자 그들은 뛰쳐 일어나 쇠사슬이 벗겨지고 노예에서 해방되었음을 하나님께 감사 드리는 기쁨의 함성을 울려 댔다.

승리는 영국과 아프리카를 넘어 전세계에 하나의 전환점을 이루는 세계사적인 사건이었다. 커플란드(Reginald Coupland) 말하길, 1834 7 31 12 정각을 기하여 800,000 명의 흑인 노예들이 자유를 얻게 되었다. 그것은 아프리카나 영국 역사상의 중요한 사건 이상의 일이었다. 그것은 세계 역사상 가장 중대한 사건이었다”고 했다. 트레벨리언(George M. Trevelyan) 다음과 같은 언급은 이유를 충분히 납득할 있게 해준다.

노예매매와 노예제도가 만일 종식되지 않았다면 산업혁명은 20세기에 아프리카를 거대한 노예농장으로 만들었을 것이며, 그것은 노예제도 하의 세계정복이 로마를 파멸시켰던 것처럼 유럽과 아프리카, 그리고 북미의 문명을 파멸로 이끌었을 것이다.

트레벨리안의 이러한 판단이 옳다면 복음주의 부흥운동은 대영제국을 구원했을 뿐만 아니라 유럽의 부패와 파괴를 실질적으로 막은 것이 된다. 이러한 승리를 이끌어 희생적인 지도자들은 대부분 “크라팜 섹트”의 회원들로써 복음주의 운동에 속한 자들이었으며 그들은 웨슬리의 설교자와 지도자들로부터 전적인 지원을 받은 자들이었다.

노예해방 운동에서 가장 빛나는 인물은 윌버포스임에 틀림 없다 것이다. 많은 노예 해방론자들이 활동했지만 윌버포스가 운동의 중심(mainspring)이었기 때문이다. 베이스(Jonathan Bayes) 의하면 윌버포스가 공적인 발언자였고 팀들의 힘을 묶어주는 연결고리였다. 윌버포스는 1785 후반에 영적인 회심을 하여 크리스챤적인 길이 아니라고 생각되는 이전의 습관들을 모두 버린 뒤로, 그의 중요한 공적 경력의 거의 모두를 노예들의 해방을 위한 운동에 헌신했다.

그의 노예해방을 위한 투쟁은 1787년에 하원의 노예문제 개혁운동의 지휘를 떠맡게 됨으로 시작 되었다. 그의 일에 대한 동기와 굳은 결의는 “전능하신 하나님께서 앞에 가지 중요한 목적, 노예매매 금지와 태도개혁의 일을 제시하셨다”는 1787 10 28 자의 그의 일기에 반영되어 있다.

그는 1791년에 노예제도 폐지를 위한 법안을 하원에 상정했는데, 이러한 윌버포스의 활동에 대한 기득권층들로부터의 위협과 반발은 필연적이었다. 이러한 때에 웨슬리가 그의 최종적인 편지를 윌버포스에게 보내 격려하게 것은 윌버포스에게 만마의 응원군이나 다름 없었다. 그리하여 윌버포스는 위협과 반대에도 기진하지 않고 시와 노래, 사진판매, 노예제도를 통해 생산된 설탕 불매운동, 그리고 탄원서 제출운동 다양한 방식을 통한 대중여론 조성과 책자 출판을 통해 노예제도 폐지 투쟁을 전개했다. 이렇게 하여 발생한 후광을 업고 그는 여러 차례 법안 제출을 시도하여 마침내 1807 1 2일의 법안 통과를 이끌어 노예매매 금지를 법제화 하는 전세계 역사상의 획기적인 사건을 성취해 냈다.

과정에서 보인 메도디스트들의 활동은 참으로 눈부시다. 1807년의 승리 절정기에 윌버포스에게는 메도디스트들 보다 강하고 예리한 후원자가 없었다. 윌버포스와 메도디스트들이 그처럼 긴밀했기에 말드윈 에드워즈에 의하면 윌버포스와 그의 조력자들은 ‘메도디스트 그룹’으로 낙인 찍히게 되었다고 한다. 메도디스트들의 지원이 얼마나 영향력이 있었는가는 노예제도 반대 청원의 통계에서 판단이 된다. 로마 카토릭을 비롯한 다른 21 비국교 단체에서는 122,978명의 서명만을 확보한 비해 메도디스트들은 229,426명이 서명하여 청원서를 보냈던 것이다. 그리고 1807년에 노예매매가 폐지되자 메도디스트들은 노예제도 자체의 제거를 위한 노력에로 나아갔다. 그리하여 1807년의 연회에서는 서인도 제도에 있는 메도디스트 설교자들에게 노예를 해방시키지 않은 자와의 결혼을 금하고, 다른 방법으로 노예를 얻게 경우 즉각 그들을 해방시키도록 하는 규정이 제정되었다.

노예해방론자들은 1807년의 승리로 자만하고 있을 수만은 없었다. 그리하여 그들은 1807년에 노예매매 금지 조례의 시행을 감시하고, 다른 나라들에게도 노예매매를 폐지하게 하며, 그리고 아프리카의 문명화를 격려하기 위해 ‘아프리카 기구’ (The African Institution) 창설했다. 이로 인해 불법 노예선을 차단하기 위한 함선이 준비되었고 해사 재판소(Admiralty Courts) 설립되었다. 소함대는 국가로 하여금 년간 750,000 파운드의 경비를 소요케 했고, 3,000 이상의 노예들을 구출 했다. 1840년부터는 해군력의 1/6 일에 투입되었다. 윌버포스를 위시한 노예 해방론자들의 노력은 해외에도 영향을 미쳐 1804년에 덴마크, 1808년에 미국, 1813년에 스웨덴, 1814년에 네델랜드, 그리고 1815년에 프랑스에서의 노예매매 폐지를 이끌어 냈다.

그러나 이들의 궁극적인 목표는 노예제도 자체의 폐지와 모든 흑인 노예들의 해방이었다. 투쟁에 있어 연로한 윌버포스는 1822년에 리더쉽을 박스톤(Thomas Fowell Buxton)에게 이양했다. 그리고 그는 “영국이 노예제도 폐지를 위해 20,000,000 파운드를 할당한 날을 있게 것을 감사하면서” 1833 7 29일에 눈을 감았다. 노예 해방법안이 1833 5 14일에 왕의 날인을 8 28일에 법제화 되었던 것이다. 조치로 영국은 노예해방 비용으로 서인도제도의 농장주들에게 20,000,000 파운드를 기꺼이 지불했고, 노예제도 억제를 위해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협력을 얻으려 700,000 파운드를 지불했다. 그리고 해군들을 증파하여 노예 밀수선 수색과 노예무역으로 이득을 챙기는 일을 지속하는 반항적인 민족들의 책략을 방비했다.

이러한 대영제국의 노예제도 폐지는 광대하고 깊게 침투해 있는 미국의 노예제도에도 일격을 가해 비틀거리게 했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1863년에 미국에서도 노예해방이 선언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승리로 하여 가장 저주스럽고 비인간적이며 인류의 문명을 부패시키고 파멸시킬 노예제도는 다행스럽게도 마지막 운명이 봉인 되었다.

이러한 승리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웨슬리와 복음주의 부흥운동이 영향력을 간과해서는 안될 것이다. 매킨토쉬(J. Mackintosh) 1831 5월에 익제터 (Exeter Hall)에서 열렸던 노예제도 반대 회합의 연설에서 웨슬리안들에게 노예제도 반대운동에 있어서의 1 위치를 부여하였는 이는 올바른 평가가 아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