偉人*人物

[儒林 속 한자이야기] (150) 管鮑之交(관포지교)

영국신사77 2007. 1. 6. 20:46
          [儒林 속 한자이야기]
 
                       (150) 管鮑之交(관포지교)

 

 

 

 

 

 sh2232 감사멤버

http://cafe.naver.com/spa82/513

 

  史記(사기) 管晏列傳(관안열전)에는 제(齊)나라의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우정에 관한 이야기가 전한다.
 
  竹馬故友(죽마고우)인 관중과 포숙아는 본의 아니게 公子(공자) 규(糾)와 소백(小白)의 측근(側近)이 되어 政爭(정쟁)에 휩쓸렸다.
 
  양공(襄公)이 공손무지(公孫無知)에게 피살되자 관중은 규와 함께 노(魯)나라로 亡命(망명)하고, 포숙아는 소백을 데리고 거로 피했다. 공손무지도 반년을 넘기지 못하고 죽임을 당했다.
 
  중신회의는 망명중인 두 공자 가운데 먼저 입국하는 사람을 왕으로 옹립한다는 결정을 내렸다. 소백이 먼저 當到(당도)하여 王位(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환공(桓公)이다. 그는 노나라에 공자 규의 處刑(처형)과 관중의 押送(압송)을 요구했다.
 
  환공이 압송된 관중을 죽이려 하자, 포숙아는 “제나라만 다스리려 한다면 臣(신)으로도 충분할 것이나, 천하의 覇者(패자)를 꿈꾸신다면 관중을 등용하소서.”라고 進言(진언)했다. 관중을 재상으로 등용한 환공은 마침내 業(패업)을 달성하였다.

 

  사람들의 예측과 달리, 훗날 관중은 정치 일선에서 물러나면서 친구 포숙아를 재상으로 천거하지 않았다. 포숙아의 潔癖性(결벽성)과 原則主義(원칙주의)를 걱정했던 것이다. 포숙아의 마음속에 관중에 대한 서운함이 남아 있을 리 없었다.

 

  일찍이 관중은 집이 가난하여 포숙아와 함께 장사를 한 적이 있었다. 관중은 자주 포숙아를 속였지만, 포숙아는 끝까지 우정을 버리지 않았다. 관중은 이런 포숙아의 우정을 다음과 같이 述懷(술회)했다.

 

  “내 일찍이 포숙을 위해 일을 도모한 것이 오히려 그를 곤궁에 빠뜨렸으나 나를 어리석은 놈이라 원망하지 않았다. 일에는 때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일찍이 나는 전장에서 세번이나 도망쳤으나 나를 겁쟁이라 비웃지 않았다. 내게 노모가 계신 걸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나를 낳아 준 분은 부모지만, 나를 알아준 사람은 포숙아다.”

 

 

 

 

                                                                      김석제 경기도군포의왕교육청 장학사(철학박사)

기사일자 : 200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