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수신인
목회 서신은, 바울이 에베소 교회를 맡도록 한 디모데와, 그레데의 교회를 맡도록 한 디도에게 쓴 편지들이다. 사도행전과 바울 서신들은 종종 디모데에 대하여 언급한다. 그의 아버지는 헬라인이고, 그의 어머니는 유대인이었다. 바울이 그의 제 2차 전도 여행 동안에 루스드라를 방문하였을 때, 그는 이미 기독교인이었다(행 16:1). 이때 디모데는 바울의 동료로 동참하였고, 바울의 가장 신실한 동료들이요, 동역자들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세 편지는 모두 짧은 시간을 간격으로 쓰여졌던 것 같다. 이 편지들의 공통 목적은 디모데와 디도를 현재와 미래의 책임들을 감당하도록 무장시키는 것이다. 비록 이 편지들이 교회 치리에 관한 상당한 교훈을 포함하고 있기는 하지만, 각 편지의 기본 목적이 단순히 정보와 교훈을 제공하는데 있다고 가정하는 것은 잘못이다.
* 이단적 가르침으로부터 신앙을 지킬 것
* 지역 교회들에 있어서 자격 있는 직원들을 임명할 것
* 공중 예배를 경건하게 드리고
* 신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위치와 책임을 감당함으로 모범적 생활을 영위하도록 권고할 것
목회서신을 주의하여 읽어보면 디모데와 디도의 능력을 훨씬 벗어난 중요한 다른 문제들이 있음을 알게된다. 양편 저작 모두에서 거짓 교사들의 가르침에 대한 염려가 중심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교회에서 영향력 있는 사람들 중 몇 사람이 거짓 교사의 가르침에 굴복하였다는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리하여 목회서신에서 일관된 관심은 직무를 맡을 자격 및 성직 임명에 있어서의 분별력이다. 교회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목회 서신은 정통 신앙과 하나님께서 기뻐하시는 행동을 요구하면서 이단과 부도덕을 함께 취급한다. 정통성을 호소하기 위하여 많은 용어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어들은 이때쯤 기독교 신앙의 교리가 체계를 이루고 있음을 나타내 준다. 이 용어들은 "믿음"(딤전 1:9), "진리"(딤전 3:15), "진리의 지식"(딤전 2:4), "가르침"(딤전 4:16), "명령"(딤전 6:14), "경계"(딤전 1:5), "바른 말의 본"(딤후 1:13) 등이다. 바울은 거짓 교리를 퍼뜨리는 자들을 책망하고 그들의 마음이 부패되었음을 선언한다(딛 1:15-16). 이단에게는 한 두 번 경고가 주어져야 한다. 그러나 그 후에는 아무도 그와 상관하지 말아야 한다(딛 3:10).
7. 감독/ 장로와 집사
목회서신은 감독/ 장로(딤전 3:1-7), 그리고 집사(3:8-13)의 자격을 정의한다. 그리고 감독/장로들을 임명하는데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제시한다(딛 1:5-9). 디모데(딤전 4:6-16, 6:11-16, 딤후 1:8-14, 2:1-7, 14-26)와 디도(딛 3;8-11)에게 주어진 교회적 관행에 관한 충고는 마찬가지로 미래의 성직자들에게도 해당된다. 감독 후보는 의롭고 청렴하게 사는 사람이어야 하며, 유능하고 예의 바른 교사이어야 하며, 자신의 위치에 대하여 분명하며 또 그것을 감당할 수 있어야만 한다. 즉 그는 오랜 동안 신실한 자로 입증된 자라야 한다. 그는 자기 가정을 현명하고 훌륭하게 다스릴 수 있어야만 한다. 만일 그가 자기의 가정을 잘 다스리지 못한다면 그가 교회를 돌아보는 일도 잘 감당할 수 없으리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그는 교회 안팎에서 존경을 받아야 한다. 초대 교회는 그 성공의 새로운 희망을 새로운 체제에 두지 않았으며, 다만 예수 그리스도와의 생명력 있는 관계를 맺고 있는 새 사람에게 희망을 두었다.
8. 신조들과 찬미들
목회 서신은 초대 기독교 찬미들의 단편들로 보이는 것(딤전 3:16, 딤후 2:11-13)과 초기 신조의 일부(딤후 2:8)를 포함하고 있다.
9. 목회서신은 누가 기록하였는가 ?
초대 교회는 목회서신을 바울의 저작으로 돌렸다. 하지만 19세기 초 이후로, 많은 사람들이 이 사실을 의문시하였다. 그들은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바울의 저작을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이 논박할 수 있다.
10. 결론 및 요약
바울은 목회서신을 그의 동역자들인 디모데와 디도에게 써 보냈다. 바울은 로마 감옥에서 석방된 후 디모데에게는 에베소 교회를, 디도에게는 그레데 섬 교회에 대한 사역을 맡겼다. 바울은 이 편지 중에서 두 사람에게 다음과 같은 것들을 교훈 하였다.
2) 이단적인 가르침에 대처하여 진리를 수호할 것
3) 그들의 교회들에 자격을 갖춘 지도자들을 임명할 것
4) 공중 예배를 경건하게 드릴 것
5) 신자들로 하여금 자기의 본분을 잘 지켜 모범적인 생활을 하도록 권고할 것
블로그 > 쉴만한물가
http://blog.naver.com/mokpojsk/130004725584
요약 | ||||
|
본문 |
목회서신(書信) 또는 사목서간(司牧書簡:천주교 용어)이라고도 한다. 디모데와 디도는 바울의 제자들이다. 이 서간에서는 신앙의 원리적인 면은 간단히 다루고, 오히려 교회의 지도 ·감독 및 교회를 중심으로 한 신앙생활의 자세 등에 관해 가르치고 있다. 성직자의 마음가짐이나 교회제도 등 이른바 목회에 관한 교훈이 많이 담겨 있어 이렇게 일컬어진다.
이 편지를 바울이 직접 썼는지에 관해서는 논의의 여지가 있으나, 이를 부정할 근거도 희박하다. 다만 이 편지들은 바울의 전도여행 말기, 그의 죽음이 가까웠을 때 쓴 것으로 보인다.
네이버 백과사전
|
제공자 해피캠퍼스
목차 | 1. 서론 2. 목회서신의 기독론적 진술들 3. 목회서신의 기독론적 칭호들 4. 목회서신의 기독론적 중심적인 개념들 5. 결론 본 자료는 워디안이나 한글 2002 이상의 버전에서만 확인이 가능합니다. 한글 97 이하의 버전을 보유하고 계신 회원님들께서는 구매에 앞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 자료관리팀> |
요약 |
목회서신의 기독론에 대한 관심은 1930년대 비평적 학자들에 의해서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목회서신과 바울서신과의 차이점에 그 초점이 있었기 때문에 목회서신의 기독론은 바울의 기독론에 비해 신학적 깊이가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1930년대 목회서신 기독론에 대한 학자달의 일반적 견해는 우선 바울의 기독론에서 중요한 선재와 올리어짐의 개념을 취한 제 2의 바울적 기독론으로 이해하였다. 거기에 요한적 내용들을 첨가했고 황제 숭배사상과 그 시대 혼합주의적 에피파니 신학으로부터 끌어낸 새로운 용어들을 사용했다고 이해했다.
목회서신의 기독론 연구가 활발해 진 것은 빈디쉬(W. Windisch)가 목회서신에는 예수가 두 가지 실존 형태로 나타난다고 주장하면서였다. 빈디쉬는 예수가 사람의 아들로 나타나고, 그리스도라는 메시아적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고 주장한다(딤후2:8,딤전2:5, 딤전 5:21, 딤전 6:11~16). 그는 목회서신의 예수는 철저히 하나님에게 종속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빈디쉬는 자신의 분석을 토대로 목회서신의 기독론이 기본적으로 바울 이전의 형태를 취하고 있고 바울의 기독론의 중심적 내용들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결론내리면서 단지 다양한 전승으로부터 물려받은 공식적 문구, 찬양시들의 형태로 이루어진 그리스도에 대한 가르침을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빈디쉬의 견해는 널리 받아들여졌으나, 하슬러(V. Hasler)에 의해 도전을 받는다. 빈디쉬와는 달리, 그는 목회서신은 체계적이고 일관된 신학적 사상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ejpiya;neia를 목회서신의 기독론의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고, 목회서신 저자가 구원사적 혹은 묵시문학적 사고의 방식 속에 있었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는 목회서신 저자가 기독론적 진술들을 헬레니즘 세계의 사상 형태 속에서 사용하였다고 주장하였다. 즉 기독교 전통적 진술들을 헬리니즘적 용어인 ejpiya;neia의 개념과 결합시켜 새로운 범주 속으로 변화 시켰다는 것이다.
오베이린너(L. Oberlinner)는 목회서신에 통일된 기독론적 개념이 있는지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긍적적으로 대답한다. 그는 헬레니즘적 용어인 swth;r와 ejpiya;neia의 사용에 그 근거를 둔다. 그는 목회서신이 swth;r와 ejpiya;neia의 헬레니즘적 범주안으로 전통적인 진술들 및 바울적 자료들도 같이 통합시켰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오베린너는 목회서신이 전체적으로 반영지주의적 경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다. 이처럼 목회서신의 기독론에 관한 연구는, 크게 목회서신에 체계적인 기독론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것(W. Widish, N. Brox, P. Trummer, A.T. Hanson)과 체계적인 기독론을 발견할 수 있다는 것(V. Halser, L. Oberlinner)이다.
본 발제에서는 목회서신에 체계적인 기독론이 있음에, 그 무게를 두고 다룰 것임을 미리 밝혀둔다. |
'聖經Bible말씀敎會예배 * 선교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에 무당이 죽은 사무엘을 불러 올리는 말씀이 나오는데요? (0) | 2007.06.27 |
---|---|
목회서신의 연대(年代) <아가페 성경사전> (0) | 2007.06.27 |
바울의 목회서신 (1) (0) | 2007.06.26 |
바울과 선교-이용원(전 서울 장신대 총장) (0) | 2007.06.24 |
성경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0) | 2007.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