聖經Bible말씀敎會예배 * 선교사

70인역 성서와 제1제2경전? <대한성서공회>

영국신사77 2007. 3. 1. 09:48
                    70인역 성서와 제1제2경전?

 

 
 

                                                                                                                        priessay 

 

   유대교인들은 그들의 경전을 『율법서(律法書)와 예언서(豫言書)와 성문서(聖文書)』라는 긴 이름으로 부른다. 히브리어로는 『 Torah Nebhim Ketubhim』이라고 한다.

 

  율법서라고 하는 ‘토라’에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라고 하는 다섯 책이 들어 있다. 그래서 ‘토라’는 일명 ‘오경(五經 Pentateuch)’이라고도 한다.

 

  예언서인 ‘네비임’은 전기예언서(前期豫言書)와 후기예언서(後期豫言書)로 나뉘며, 전기예언서에는 ‘여호수아기’ ‘사사기(師士記)’ [또는 판관기(判官記)] ‘사무엘기’ ‘열왕기(列王記)’가 들어 있고, 후기예언서에는 ‘이사야서’ ‘예레미야서’ ‘에스겔서’ ‘열두 책’이 들어 있다. ‘네비임’에는 이처럼 전.후기 예언서 각각 네 권씩 모두 여덟 책이 들어 있다. ‘열두 책’이라는 것은 달리 ‘소예언서’라고도 하는데, 거기에는 ‘호세아서’ ‘요엘서’ ‘아모스서’ ‘오바댜서’ ‘요나서’ ‘미가서’ ‘나훔서’ ‘하박국서’ ‘스바냐서’ ‘학개서’ ‘스가랴서’ ‘말라기서’와 같은 열두 책이 들어 있다. 열두 책이긴 하지만 일찍부터 한 두루마리에 기록되어 있었으므로 한 권으로 여김을 받았다.

  성문서인 ‘케투빔’에는 ‘시편’ ‘잠언’ ‘욥기’와 같은 시와 지혜, ‘아가’ ‘룻기’ ‘애가’ ‘전도서’ ‘에스더기’라고 하는 다섯 두루마리(하메쉬 메길롯), 이 밖에 ‘다니엘서’ ‘에스라-느헤미야기’ ‘역대지’와 같은 책들이 들어 있다. 성문서에 들어있는 책의 수는 시와 지혜 3권, 다섯 두루마리 안에 들어 있는 5권, 나머지 3권, 모두 11권이다.

  히브리어 경전에 들어 있는 낱권 책의 수는 ‘토라’에 5권, ‘네비임’에 8권, ‘케투빔’에 11권, 모두 합하면 24권이다. 유대교 안에서 히브리어 성서가 어떤 경로를 거쳐 경전이 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율법서와 예언서와 성문서라고 하는 그 이름이 암시하듯이, 일찍부터 율법서가 경전이 되고, 그 다음에 예언서가, 그리고 마지막으로 성문서에 속하는 책들이 경전이 된 것 같다.

 

  개략적으로 말하면, 먼저 율법서가 기원전 5세기, 이스라엘 사람들이 바빌로니아 포로 생활에서 풀려나 돌아 오던 때에 에스라의 주도 아래에서 경전이 된다.

 

  예언서가 경전이 된 것은, 일반적으로는, 시몬(219-199 B.C.)이 대제사장직에 있을 때라고 본다. 성문서에 속하는 책들이 마지막으로 경전이 되기는 하지만, ‘시편’과 같은 책은 일찍부터 예언서와 함께 권위를 인정받고 있었다.

 

  결국 기원후 90년 얌니아(Jamnia) 회의에서 히브리어 성서의 범위가 확정되기에 이른다. 그동안 경전성 논란을 불러 일으킨 에스겔서, 잠언, 아가, 전도서, 에스더기 등이 이 때에 함께 경전이 된다.

  그리스시대 초기 유대 땅 예루살렘이 팔레스틴 유대교의 중심지였을 때, 옛 북왕국 이스라엘의 중심지 사마리아에 살던 야웨 숭배자들은 예루살렘의 유대사회로부터 이탈하여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였다. 이들이 곧 사마리아 사람들이다.

 

  그들은 세겜 근처의 그리심 산을 그들 제사의 중심지로 정하였다. 그들은 경전으로서는 오경만을 받아들이고, 외경으로는 “세페르 하야밈”(Seper Hayyamim: “역사서”)과 “메마르 마르카”(Memar Marqa: “마르카의 교훈 속에 담긴 모세의 이야기”)가 있다. 이 책들이 그 권위에 있어서는 오경과 같지는 않으나 ,오경 버금가는 경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세페르 하야밈”은 여호수아 시대로부터 로마 시대를 거쳐 중세에 이르기까지의 그들의 역사를 기록하고 있는 책이다. 특히 성서 시대 해당 부분에는 여호수아기를 위시한 역사서에서 상당한 양의 자료를 발췌하여 그들의 신학적 입장에서 그것을 고쳐 인용한 예가 많이 발견된다.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살던 유대인들 사이에서 기원전 3세기경부터 번역되기 시작한 그리스어 구약이 그들의 경전이 된다.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들 역시 사두개파나 사마리아 사람들과 같이 오경만을 경전으로 받아들여 번역하였다.

 

  나머지 책들도 그 교육적 가치를 인정받아 번역되었으며, 히브리어 구약성서가 경전으로 받아들이지 아니한 다른 책들(외경)을 성서에 포함시키기에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알렉산드리아의 유대인들의 경전은 어디까지나 오경만이었다.

  그들의 경전이 히브리어 원본에서 번역된 것이지만, 지금의 히브리어 마소라본문 성서와는 분량이나 책 편집이 다르다.

 

  히브리어 경전은 구약을 율법서와 예언서와 성문서라고 하여 셋으로 나누지만, 알렉산드리아 경전은 구약을 오경, 역사서, 문학서, 예언서로 나눈다.

 

  오경에는 ‘창세기’ ‘출애굽기’ ‘레위기’ ‘민수기’ ‘신명기’가 들어가고, 역사서에는 ‘여호수아기’ ‘사사기(또는 판관기)’ ‘룻기’ ‘사무엘기상’ ‘사무엘기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지상’ ‘역대지하’ ‘에스라기 1(외경)’ ‘에스라기 2(에스라기와 느헤미야기)’ ‘에스더기’ ‘유딧기’ ‘토비트기’ ‘마카베오기 1’ ‘마카베오기 2’ ‘마카베오기 3’ ‘마카베오기 4’를 편집하였고, 문학서에는 ‘시편’ ‘송시’ ‘잠언’ ‘전도서’ ‘아가’ ‘욥기’ ‘지혜서’ ‘집회서’ ‘솔로몬의 시’를 편집해 넣었으며, 예언서에는 ‘호세아서’ ‘아모스서’ ‘요엘서’ ‘오바댜서’ ‘요나서’ ‘나훔서’ ‘하박국서’ ‘스바냐서’ ‘말라기서’ ‘이사야서’ ‘예레미아서’ ‘바룩서’ ‘애가’ ‘예레미아의 편지’ ‘에스겔서’ ‘수산나’ ‘다니엘서’ ‘벨과 뱀’ 등을 편집해 넣었다. 위에서 보듯이 배열과 분책(分冊)방법이 히브리어 경전과 다르다.

   1940년대에 사해 서북부 유대 광야에서 구약성서 사해사본이 발견되면서 쿰란종파의 경전에 대한 관심이 일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경전 전체의 윤곽을 파악할 길이 없다. ‘에스더기’를 제외한 히브리어 구약이 모두 발견되었다. 이것은 쿰란 종파의 경전이나 유대교의 경전이 거의 같았음을 암시한다.

 

  다만 ‘에스더기’의 경우는, 그들의 경전에 들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발견되지 않은 것인지, 그들의 경전에 들어 있기는 했지만, 우연히 발견되지 않은 것일 뿐인지 알 수 없다.

 

에 와서는 경전이 확대되고 재편집된다. 확대되었다는 말은 히브리어 경전에 기독교의 경전인 신약 과 함께 구약과 신약 중간기에 형성된 제2경전이 첨가된 것을 일컫는 것이었고, 재편집되었다는 것은 이와 같은 첨가 외에, 히브리어 경전 24권을 70인역을 따라서 39권으로 나누었다는 것이다. 히브리어 경전의 ‘사무엘기’ ‘열왕기’ ‘역대지’를 ‘사무엘기상’ ‘사무엘기하’ ‘열왕기상’ ‘열왕기하’ ‘역대지상(歷代誌上)’ ‘역대지하(歷代誌下)’로 나누고, ‘에스라-느헤미야기’를 ‘에스라기’와 ‘느헤미야기’로 나누고, 소예언서 ‘열두 책’을 열둘로 나누어서 구약을 모두 39권으로 재편집하였다.

  구약성서는 일찍부터 두 언어로 전승되어 왔다. 하나는 히브리어로 기록된 구약성서이고, 다른 하나는 기원전 3세기부터 히브리어에서 그리스어로 번역된 그리스어역 구약, 일명 칠십인역(LXX)이다.

 

  초기 기독교는 히브리어 구약성서보다는 그리스어 구약성서를 경전으로 받아들였는데, 거기에는 히브리어 구약성서에는 없는 소위 외경(外經)이라고 하는 책들이 더 편집되어 있어서 가톨릭의 성서가 된다.

 

  개신교에서 외경이라고 부르는 것을 가톨릭에서는 ‘제2경전(第二經典,deuterocanonical)’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히브리어 구약성서와 그리스어 신약성서를 합친 성경을, 가톨릭에서는 ‘제1경전’ 혹은 ‘원경전(原經典,protocanonical)’이라고 한다.

  제2경전에 들어가는 책은 역사적으로 변천되어 왔다. 또 편집 형태에 따라, 책의 권 수도 일정하지 않다.

 

  1977년에 나온 우리나라의 신.구교가 번역한 '공동번역성서'(1977)에 보면, ‘토비트’ ‘유딧’ ‘에스델(제1경전 에스더기의 추가부분)’ ‘지혜서’ ‘집회서’ ‘바룩서’ ‘다니엘서(제1경전 다니엘의 추가부분)’ ‘마카베오상’ ‘마카베오하’ 이상 9권이다. ‘바룩서’ 안에는 ‘예레미야의 편지’가 마지막장으로 편집되어 있고, ‘다니엘서의 추가 부분’에는 ‘세 젊은이의 노래’ ‘수산나’ ‘벨과 뱀’이 들어 있다.

 

  영어개역표준성서(Revised Standard Version) (1957)에 실린 제2경전에는 ‘제1에스드라’ ‘제2에스드라’ ‘므낫세의 기도’가 더 들어 있다.

  제2경전에 속하는 이러한 책들은, 본래 유대교가 번역한 그리스어역 구약인 ‘칠십인역’에 들어 있던 것들을 초기 기독교가 받아들이고, 그것이 그대로 가톨릭의 경전이 된 것이다. 그러므로 제2경전에 속한 책들이 제1경전과 합본된 것은, 기독교의 작업이 아니라 유대교의 경전사와 관련된 것이다.



에 익숙하지 않던 초기 기독교가 그리스어로 번역된 ‘칠십인역’ 구약을 읽게 되면서, 거기에 들어 있는 제2경전에 속한 책들까지 함께 받아들이게 된 것이다.

 

  고대 라틴어역 성서(Old Latin Version)는 바로 ‘칠십인역’에서 번역된 것이다. 교부들 사이에서도, 히브리어로 된 구약에는 없고 그리스어로 번역된 구약에만 나오는 책들에 대한 경전으로서의 권위를 문제삼기는 하였으나, 1546년 트렌트 회의에서는 그리스어 외경을 히브리어 성경에 들어 있는 39권 책과 동일하게, 영감 받은 권위 있는 경전으로 인정하게 된다.

 

  히브리어 구약에 들어 있는 39권의 책은 이미 경전으로 전해져온 것이므로 이것을 ‘제1경전’이라고 하였고, 그리스어 구약에 들어 있는 나머지 책들은 늦게 경전이 되었다고 하여 ‘제2경전’이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논의의 편의상 여기에서 ‘제1경전’ ‘제2경전’이란 말을 쓰지만, 이런 용어는 16세기 트렌트회의 이후부터 사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므낫세의 기도’ ‘제1에스드라’ ‘제2에스드라’는 불가타역 성서 들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경전으로 인정 받지 못하였다. 따라서 불가타역은 이 세 책을 부록으로 취급하여 별도로 편집하였고, 나머지 책들은 구약의 여러 곳에 적절히 재배치하였다. ‘토빗트’와 ‘유딧’은 ‘느헤미야기’ 다음에, ‘에스더기 추가 부분’은 ‘에스더기’ 안에, ‘마카베오상’과 ‘마카베오하’는 ‘에스더기’ 다음에, ‘지혜서’와 ‘집회서’는 ‘아가’ 다음에, ‘바룩서’는 ‘애가’ 다음에, ‘다니엘서 추가 부분’은 ‘다니엘서’ 다음에 각각 편집해 넣었다.

는 39권의 낱권으로 형성된 구약과 27권의 신약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신교의 성서가 유대교의 경전과 다른 것은 구약외에 신약을 더 가지고 있다는 것이며, 구약의 경우도 내용은 같지만, 책의 분책과 배열이 다르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기독교에서는 '사무엘 상' 과 '사무엘 하'로 나누지만 유대교 경전에서는 '사무엘' 한 권으로 구성하고 있다

.

  책의 배열에 있어서도 개신교는 욥기, 시편, 잠언등으로 되어있는데, 유대교 경전에서는 시편, 욥기, 잠언등의 순서로 되어 있다.

창세기(창)

레위기(레)

신명기(신)

사사기(삿)

사무엘기상(삼상)

열왕기상(왕상)

역대기상(대상)

에스라기(라)

에스더기(더)

시편(시)

전도서(전)

이사야서(사)

예레미야애가(애)

다니엘서(단)

요엘서(욜)

오바댜서(옵)

미가서(미)

하바국서(합)

학개서(학)

말라기서(말)

출애굽기(출)

민수기(민)

여호수아(수)

룻기(룻)

사무엘기하(삼하)

열왕기하(왕하)

역대기하(대하)

느헤미야기(느)

욥기(욥)

잠언(잠)

아가(아)

예레미야서(렘)

에스겔서(겔)

호세아서(호)

아모스서(암)

요나서(욘)

나훔서(나)

스바냐서(습)

스가랴서(슥)

마태복음서(마)

누가복음서(눅)

사도행전(행)

고린도전서(고전)

갈라디아서(갈)

빌립보서(빌)

데살로니가전서(살전)

디모데전서(딤전)

디도서(딛)

히브리서(히)

베드로전서(벧전)

요한1서(요일)

요한3서(요삼)

요한계시록(계)

마가복음서(막)

요한복음서(요)

로마서(롬)

고린도후서(고후)

에베소서(엡)

골로새서(골)

데살로니가후서(살후)

디모데후서(딤후)

빌레몬서(몬)

야고보서(약)

베드로후서(벧후)

요한2서(요이)

유다서(유)

  가톨릭과 다른 것은, 가톨릭이 제2경전이라고 부르는 외경(外經)을 경건문학으로는 받아들여도 경전으로는 고백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가톨릭에서는, 외경의 경전성 문제가 논의되어 오다가 ‘제2경전’으로 정착되었지만, 개신교쪽에서는 종교개혁 당시부터 외경의 경전성 문제가 논의되다가, 끝내 경전 안에는 들어 올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개신교 목사들이 편집한 츄리히 성서(Zurich Bibel or Swiss-German Bible)(1527~1530)는 외경을 신약 다음에 부록으로 편집해 넣었다. 1534년에 끝난 루터의 독일어역은 외경을 구약과 신약 사이에 부록으로 엮어 넣고, 그 서문에 “외경은 경전과는 동등하지 않지만, 읽어서 유익한 책”이라고 언급하였다.

 

  1535년에 프랑스 개신교가 처음으로 번역하여 발간한 성서도 외경을 구약과 신약 사이에 부록으로 넣고, 머리말에서 “히브리어와 아람어로 쓰여진 구약에는 없지만 불가타 역본에 들어있는 외경”이라고 언급하였다.


 

  1535년에 카버데일(Miles Coverdale)이 번역한 영어성서도, 외경을 구약과 신약 사이에 부록으로 편집하였다. 즉 구약의 일부로 다루지 않고, 별도로 묶어 경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책임을 밝혔다.


 

  1560년에 나온 제네바 성서는 본문을 절로 나누어 출판한 최초의 성서일 뿐만 아니라, 외경에 대해서도 그 서문에서 개신교의 견해를 분명하게 밝혔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는다. 서문에서, 외경에 대해 이 책들이 교회가 공적으로 읽고 해석하는 것이 공인된 점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한다. 경전이 확증하는 것과 같은 내용에 동의하는 한에서만 도움이 되는 책임을 밝혔다. 그러면서도, ‘므낫세의 기도’만은 역대지하 끝에 편집해 넣은 예외를 보인다.


 

  1611년에 나온 제임스왕 역본(King James Version)도 외경을 경전과 구 별하는 점에서는 개신교의 전통을 그대로 따르지만, 신약성서 관주(전후참조)에서 외경과의 관련구절을 여러번 언급하여 외경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1546년 트렌트 회의에서 가톨릭교회가 외경을 ‘제2경전’으로 결정하면서부터, 개신교쪽에서도 외경에 대한 태도를 좀 더 분명하게 하기에 이른다.


 

  1562년에 영국교회가 발표한 39개조 종교조항 제6조는 “(외경은) 교회가 신도에게 생활의 모범이나 교훈을 가르치려고 할 때 읽을 수 있다. 그러나 외경을 근거로 하여 교리를 제정할 수는 없다”고 하였다.


 

  1647년 웨스터민스터 신학자 총회에서 결정한 신앙고백 제1장 3절은 “외경은 영감으로 쓰여진 책이 아니므로 경전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외경은 성경과는 달리, 교회 안에서 어떠한 권위도 가지지 못하고, 인정되거나 사용되어서는 안된다”고 하였다.

  개신교 가운데서는 어느 한 교회도 외경을 경전으로 인정하는 교회는 없다. 개신교 가운데서도 성공회는 외경을 가장 존중하는 교회다. 그들의 기도서에 붙어 있는 성구절에는 언제나 외경이 인용된다. 최근에 영국 성공회에서 개정한 성구집에 보면, 외경에서 인용한 일과가 44개나 되고, 미국성공회가 사용하는 최신 개정판 성구집에는 무려 110곳의 외경 인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개신교는, 종교개혁자들이 외경을 중요하게 권장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경에 대해 거의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출처 : 대한성서공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