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dding/결혼(wedding)이야기

[에세이―박미령] 시가와 처가 사이

영국신사77 2007. 2. 28. 19:53
              [에세이―박미령] 시가와 처가 사이

가족은 태어난 가족(원가족)과 결혼해서 이루는 가족(생식가족), 두 가지로 분류된다. 태어나 자란 가족 속에서 습득한 모든 것은 일생을 통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원가족경험은 개인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다. 결혼해서 생식가족을 이루면 원가족을 떠나게 되지만 원가족은 친정(처가)이나 본가(시가)의 형태로 결혼 후에도 생식가족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

예전에는 여자가 시집살이를 하는 문화였기 때문에 친정의 영향력은 약한 반면 시가의 영향력은 매우 강했다. 사위를 ‘백년손님’이라고 할 정도였으니 처가와의 관계는 미미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도 처가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위해 ‘처가와 화장실은 멀수록 좋다’는 말도 있었다. 이제 화장실은 집안으로 들어왔고, 처가는 점점 더 가까워져 처가살이를 하는 남자들도 늘어난다. 바야흐로 남녀평등시대니 처가와 시가의 구별이 따로 있으랴.

시집살이 문화에서는 매운 시집살이에 시달리는 여자들의 일방적 희생으로 가족이 유지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자는 일단 결혼을 하면 시집에 소속되어야 한다는 출가외인 사상의 지배를 받아 친정나들이가 극히 제한되어 있었다. 남자는 결혼 후에도 자신의 원가족 속에 살지만 여자는 남편의 원가족인 시가에 일방적으로 편입되어 적응해야했다.

일방통행도로에서는 가속도가 붙지만, 충돌사고는 적다. 시가 위주의 삶이 여성들에게는 고통이었지만 시가와 처가의 관계가 불평등관계로 엄격히 자리매김한 상태에서는 갈등이나 협상의 여지가 적어, 시가와 처가 간 가족문제는 도리어 덜 발생한다. 교통사고는 양방통행이 가능한 도로, 특히 교차로, 삼거리, 사거리 등 마음껏 방향을 바꾸어 갈수 있는 곳에서 빈번히 발생한다.

남녀가 평등하고 아들과 딸의 차별이 없다고 하는 시대에는 시가와 처가 관계도 기본적으로 평등한 협력관계를 유지해야 한다. 처가와 시가는 결혼한 부부에게 어려운 일이 있을 때 도움을 주고받을 수 있는 안전망의 역할을 한다. 형편에 따라 시가의 도움을 받기도 하고 처가의 도움을 받기도 하는 시대. 반대로 자녀들의 상황에 따라 노후에 딸의 도움을 받기도 하고 아들의 도움을 받기도 하는 시대에 시가와 처가 사이의 관계는 다양하게 자리매김한다.

설날이 지난 후 이혼건수가 급증했다고 한다. 시가와 처가 사이의 다양한 관계설정에 어려움을 겪는 부부들이 시가 위주의 명절 문화 앞에서 충돌한 것은 아닐까.

박미령(수필가,수원대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