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聖地 · 선교사/◆양화진묘원· 선교사

●●● 양화진 외국인 묘지공원과 선교사들

영국신사77 2008. 6. 16. 12:11
                                               양화진

 

  양화진은 미국인 265, 영국 30, 프랑스 25, 덴마크 3, 호주 12, 벨기에 4, 백러시아 54, 캐나다 7,

               일본 1, 스페인 4, 한국 20 등 국적을 달리한 묘소가 한자리에 모여 있다.

 

     “그 깜깜했던 100년 전,

       배를 타고 몇 개월씩 고생을 해야 동서양이 간신히 이어지던 백 년 전,

       나라를 등지고 고향을 버리고 가족과 헤어져,

       이 미개하고 몰이해로 가득찬 땅으로 들어왔던 선교사들 ...전도자들...

       그 분들은 정말 성령을 힘입은 사람들이었다…….”

 

      “백 년 전에 그리스도의 사랑을 실천한 분들…….”

 

  그리고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하여 한국땅에 묻힌 하나님의 사람들 …….

 

 

   먼저 양화진의 역사적 배경과 선교사 묘지공원의 조성이야기를 살펴 보겠다.

 

 


                                            ◇ 양화진의 역사적 배경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에 있는 양화진(楊花津)과 그 주변 지역은 역사적으로 많은 사적과 사연이 담겨있는 곳이다.

 양화진에 인접한 한강 연안과 잠두봉은 예로부터 경치가 아름답기로 유명하여 적벽이나 다름없는 절승지지라 하여 풍류객들이 자주 머물던 풍치절경의 사적지였다.

 또한 양화진은 노량진ㆍ 동작진ㆍ 송파진ㆍ한강진과 함께 오진(五津)중의 하나로 나루터의 구실뿐만 아니라 외침과 민란에 대비하여 상비군이 주둔한 곳이었다.

그 후 양화진은 구한말에 이르러 대원군의 병인박해로 천주교 신자의 목을 자르는 '절두산'이라는 험한 흉터로 되면서 수난사건의 현장으로 변하였다. '절두산'이라는 이름의 유래는 그 때뿌터였다.

외국 선교사들의 출ㆍ입국 경로는 일반적으로 일본과 인천을 연결하는 해운 항로로 이용하였으며, 그들은 인천에서 다시 배를 타고 양화나루까지 거슬러 올라와 육로로 서울 도심으로 들어왔다

국내에서 전도할 때에도 경기ㆍ황해ㆍ평안과 충청ㆍ전라 지방에 이르는 선교여행을 할 때에 양화진은 수륙교통의 길목 역할을 단단히 하였다. 

                                        ◇ 서울 외국인 선교사 묘지공원 조성이야기

 양화진 묘지공원의 이름은 세월의 흐름에 따라 일제 때에는 '경성구미인묘지'로 불리다가, 해방 후 '서울 외국인 묘지'로 바뀌었고, 1986년 선교기념관의 건립과 함께 '서울 외국인 묘지공원'으로 개칭되었다.

 1890년 7월 26일 미국 북장로회 의료선교사로 고종의 시의였던 존 헤론이 급환으로 별세하자, 묘지를 설치할 장소의 선정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때 도성 안에 시신을 매장하는 일은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다. 그렇다고 인천항 해안 언덕에 마련된 외국인 묘지까지 한여름 더위에 서울에서 인천까지 시신을 운구한다는 것은 상상하기 어려웠다.

 유족과 선교사들은 조정에 서울 가까이 묘지로 쓸만한 장소를 제공해 줄 것을 요청하였으나, 조정에서 지정해 준 곳은 한강 건너편 야산 기슭의 모래밭이어서 묘지로 쓸 수 없는 땅이었다. 하는 수 없이 시신을 밀봉하여 헤론이 살던 집 뒤뜰에 매장하려 하였으나, 선교사를 보조하는 서생들이 한사코 반대하여 더욱더 문제가 생겼다.

 이때 미국 공사관과 조정의 신임을 받고 있던 알렌과 언더우드 등의 선교사들은 외교 경로를 통하여 미국공사를 비롯한 러시아·영국·프랑스·독일 등 5개국 공사의 공동명의로, 양화진을 외국인 공동묘지로 허락해 줄 것을 청원하여, 마침내 경관이 아름다운 양화진 언덕을 묘지로 사용하도록 허가 받아, 이곳에 헤론을 처음 안장함으로써 양화진 외국인 묘지공원이 터를 잡게 되었다.

  최근 양화진 선교회(www.yanghwajin.co.kr)는 양화진 묘지공원 현황을 보다 정밀하게 조사하기 위하여, 묘역의 위치에 따라 제1묘역부터 제3묘역까지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이들 묘역을 다시 ‘열’별로 세분하고, 각각 고유번호를 부여하여 2002년부터 2004년 8월까지 현장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2004년 8월 현재, 양화진 묘역은 555기의 무덤이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를 묘역별로 구분하면 제1묘역 187기, 제2묘역 136기, 제3묘역 232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분야별로 구분하면 선교사(가족포함)로 파송되어 한국과 한국인을 위하여 헌신하다가 이곳에 안장된 묘역은 모두 167기로 조사되었다. 이밖에 외교관·법률가·언론인·음악가·기술자·군인·실업가 등으로, 한국의 국가 발전 보호와 근대화 사업에 참여한 직입인도 117기로 조사되었다. 이 밖에 직업인 가족과 어린이 묘역 등 기타 묘역이 10기이고, 내용을 알 수 없는 경우가 141기에 이른다.

 

 

                                              양화진 가는 길

|개|관|시|간|
ㆍ하절기 (5월~9월) 09:30~18:00
ㆍ동절기 (10월~4월) 09:30~17:00 / (점심시간12:30~13:30)


|대|중|교|통|
지하철
ㆍ2,6호선 합정역 하차후→7번출구로 나와 정면에 보이는

  →마포 재활용점, 또는 정자에서 좌측 골목으로→당산철교 따라 약150m


BUS
ㆍ103,118,129,139,588
ㆍ신촌방면에서 오실 경우 홀트 앞,

   당산역 방향에서 오실 경우 서서울호텔 앞에서 하차하세요


승용차
ㆍ신촌방면에서→합정동 로터리를 지나→양화대교 아래에서 U턴

   →U턴 하자마자 운하장 골목으로 우회전 후 100M직진


ㆍ양화대교나 강변북로 이용시→합정동 로터리 진입하자마자

   →운하장 골목이나 LG대리점 골목으로 우회전

 

 

 

 

 

 

                                          양화진 외국인 묘지공원의 모습

 

 

                                                     양화진 묘지공원 입구-1[우측에 표지가 보임]

 

 

 

 

                                                 양화진 제1묘역 입구

 

 

 

 

 

 

                                                                                    제1묘역

                                                                           랜들 선교사-1

                                              미 감리회 파송으로 1918년 한국에 들어왔던 파울린 랜들 선교사와,

                        바로 아래에 나오는 미 남감리회 파송으로 1907년 교사로 교육사역을 시작했던 루비 켄드릭선교사

                           급성 맹장염이라는 간단한 질환을 치료하지 못해 사역의 완성을 보지 못한 채 하나님의 품에 안겼다.

 

                                                랜들 선교사와 루비 켄드릭 선교사  묘비(왼쪽부터)        

                                                                                                                      

 

 

 

                                                                                                                           

                                     

                                                             루비 켄드릭 선교사  묘지

 

                                                      " If I had a thousand lives to give, Korea should have them all ."

                                                                                                                                    - Ruby Kendric -

 

                                          "내게 줄 수 있는 천번의 생명이 있다면, 나는 그 천 번의 삶을 한국을 위해 바치겠다"

                                                                                                                                                -루비 켄트릭-

 

 

                

                                                             

 

 

                                                                             하디 선교사

                                                                           

 

                                                                    헐버트선교사-3[김대중 당시 대통령 휘호]

    

 

                                                                               헐버트 선교사-1

 

  헐버트 [Hulbert, Homer Bezaleel, 1863~1949]는 버몬트주(州) 뉴헤이번 출생. 1884년 다트먼트대학을 졸업, 그 해 유니언신학교에 들어갔다가 1886년(조선 고종 23) 소학교 교사로 초청을 받고 D.A.벙커 등과 함께 내한(來韓), 육영공원(育英公院)에서 외국어를 가르쳤다. 1891년에 육영공원을 축소하려고 하자 교사직을 사임하고 귀국하였다가, 2년뒤에 목사안수를 받고 선교사 자격으로 다시 내한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 후 한국의 자주독립을 주장하여, 고종의 밀서를 휴대하고 미국에 돌아가 국무장관과 대통령을 면담하려 했으나 실패하였다.

 

 1906년 다시 내한, 《한국평론 The Korea Review》을 통해 일본의 야심과 야만적 탄압행위를 폭로하는 한편, 이듬해 고종에게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제2차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를 보내도록 건의하였다. 그는 한국 대표보다 먼저 헤이그에 도착, 《회의시보 Courier de la Confer?nce》에 한국 대표단의 호소문을 싣게 하는 등 한국의 국권 회복운동에 적극 협력하였다.

 1908년 미국 매사추세츠주 스프링필드에 정착하면서 한국에 관한 글을 썼고, 1919년 3 ·1운동을 지지하는 글을 서재필(徐載弼)이 주관하는 잡지에 발표하였다.

 대한민국 수립 후 1949년 국빈으로 초대를 받고 내한하였으나, 병사하여 양화진(楊花津) 외국인 묘지에 묻혔다.

 저서에 《한국사 The History of Korea》(2권) 《대동기년(大東紀年)》(5권) 《한국견문기 The Passing of Korea》 등이 있다.

 

  조상 전래의 구전으로 전해오던   우리 민요 아리랑을 서양식 악보에 기록한 것은 1896년 당시 미국 선교사로 활약하던 헐버트(1863.1-1949.8.5)에 의해서이다. 그는 문서선교를 위한 책자를 발간하였고 영문 한국학 연구지인 “코리아 레포지토리”(Korea Repository)하는 잡지에 한국의 역사 풍속 언어등에 대한 글을 실었다. 바로 이 잡지 안에 ‘Korea Vocal Music’이라는 란에 아리랑의 영문 가사를 싣고 있다.

 

  이런 한국학 연구를 통해 헐버트는 한국을 깊이 이해할 수 있었으며, 열강 제국의 틈바구니 속에서 몸부림치는 한국인들에 대해 동정심을 가지게 되었다. 그의 책에 아리랑의 악보와 가사를 실고 그가 이처럼 우리의 마음을 이해하던 이유 중의 하나는, 1896년2월에 태어난 아들이 생후 1년만에 죽게된 사별의 슬픔이 있었던 것을 기억해야 한다.

 

                                                         헐버트선교사-2[가운데 한글은 김대중 前 대통령 휘호]

 이 묘비는 1949년 8월 11일 헐버트 선교사의 영결식때 제막한 것인데,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 박사가 묘비명을 쓸 수 있도록 비석의 가운데 부분을 비워두었었다. 당시는 건국 초기여서 국내의 여러가지 사정상 추진위원회가 글씨를 미쳐 받지 못했다치고, 그 이후에도 50년 동안 그 자리는 그대로 비어 있었으니 우리는 그 이유를 어디서 찾아야 할까.

 

  어쨌든 이 묘비는 헐버트 박사의 서거 50주년을 맞아 1999년 당시의 대통령이던 김대중씨의 휘호를 받아 묘비명을 새겼다한다. 가운데 세로글씨 '헐버트 박사의 묘'라는 한글 휘호가 김대중씨의 필적이다. 사연 많은 비석이 아닐 수 없다.

 

                                                                   

 

 대한제국 국권 회복을 위해 일제에 맞서 싸우다 강제추방까지 당했던 호머 헐버트 박사(1863∼1949) 는 미국 버몬트주 태생으로 대한제국 초청으로 1886년 23세 나이로 왕립 영어학교인 육영공원 교사로 내한해, 교육분야 총책임자와 외교 자문관으로 고종황제를 보좌했다.

 

  헐버트 박사는 1907년에는 이준 열사 등이 헤이그 만국평화회의에 밀사로 참석 할 수 있도록 면밀히 지원하는 등 항일운동을 벌이다, 1910년 일제에 의해 강제 추방됐다.

 

  그는 그 후 40여 년 만인 1949년 7월 29일 우리 정부 초청으로 8ㆍ15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내한했다가, 일주일 만인 같은 해 8월 5일 86세를 일기로 타계했다.  

 

                            

 

                                                         

                                  2살에 죽은 헐버트 선교사의 아들 셀던 헐버트의 무덤. 헐버트 선교사는 아들을 잃은 슬픔으로,

                                                   "구전으로만 전해오던 민요 아리랑을 서양식 악보로 처음 기록"하게 되었다. 

 

 

                                                                                                                                                                                                                                                                                                                                                             


 한국 감리교 최초 선교사 아펜젤러 추모비(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아펜젤러 추모비(출처:http://blog.daum.net/sunghwa)

 

 

                                                                                                 

                                                                                                                                                                                                                                                                                                                                                                                   


 한국 감리교 최초 선교사 아펜젤러 추모비(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아펜젤러 선교사 아들 헨리 다지 아펜셀러 묘[배재학당 교장](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아펜젤러 추모비[배재동문](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아펜젤러 소개(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아펜젤러 추모비 뒷면 (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제2묘역

                                                                                    애비슨의 묘비

 

                                                                     언더우드 선교사 가족 묘

 

                                                  언더우드 선교사 부인 홀트(好敦) 의료선교사의 묘

 


                                   언더우드 일가 묘역 소개

 

 

 


                                        언더우드1세 소개.

(1916년 미국에서 별세한 후, 1999년 5월 20일에 양화진으로 이장됐다는 내용이 보인다..)

 

 

 

                                                                             

  

 

                                                      

 

 

                                           

 

                                                                             

                                                                                                                                                                                                                                                                                                                                                                                   

                                                                                     

 

          이화의 창설과 초석을 놓으신 1.매리 스크랜톤, 2.로제타 셔우드 홀, 3.올리버 페인, 4.메리 힐만, 5.엘리스 아펜셀러등

                                                         5명의 스승들을 위한 기념비

                                                                                                                                          


   이화여대의 설립자 스크랜튼 선교사-1 (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이화여대의 설립자 스크랜튼 선교사 소개-2(출처:http://blog.daum.net/sunghwa)

 

 

                                                                                              

                                                                                        선교사 자녀들 묘역-1

 

                                                                                        

                                                                                           선교사 자녀들 묘역-2

 

                                                                                       선교사 자녀들 묘역-3

 

 

 

 

  

 

 

 

 

 

 

  

                       미국 남감리회의 한국 최초 여선교사인 캠벨(Joshephine E.P. Cambell) 배재학당 설립자-1

 

    미국 남감리회의 한국 최초 여선교사인 캠벨(Joshephine E.P. Cambell) 배재학당 설립자(배화학당, 종교교회, 자교교회 설립자)-2

 

                                            

 

 

                                                               양화진에 최초로 묻힌 존 헤론 의료선교사-1

 

                                                                      양화진에 최초로 묻힌 존 헤론 의료선교사-1

 

 

                                                       양화진에 최초로 묻힌 존 헤론 의료선교사-2

 

 

                                                         양화진에 최초로 묻힌 존 헤론 의료선교사-3

 

                                            

                                                                                                                                                                                                          

                          윌리암 홀 선교사의 아들이자 한국에 결핵요양원을 처음 세운 셔우드홀의 묘비와 공적비(1992년)

 

  대한결핵협회는 1993년 11월 10일 셔우드 홀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해, 양화진에 다음과 같은 비문의 공적비를 세웠다. 


   “캐나다인 셔우드 홀은 1893년 11월 10일 서울에서 출생했다. 자라면서 많은 한국인들이 결핵으로 죽어가는 것을 보고 결핵 퇴치에 헌신할 것을 결심, 토론토의대 졸업 후 역시 의사가 된 메리안 버텀리와 결혼하여 1926년 함께 감리교 의료선교사로 해주 구세병원에 부임했으며, 한국 최초로 1928년에 근대적 결핵요양원을 설립하고, 1932년에는 크리스마스-실을 발행했다.

  1940년 일제에 의하여 강제 추방 될 때까지 결핵환자 치료와 실 발행을 계속했으며, 한편으로는 모범농장을 일구어 새 영농기술을 보급하고 의창학교장으로서 교육사업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2대에 걸쳐 한국인에게 봉사한 공을 찬양해 1984년 한국정부는 국민훈장 모란장을, 서울시에서는

명예시민증을 수여했다.”                                          (자료 : 대한결핵협회, 한국결핵사, 1998.2.28)

 

 

                                                 대한 매일신보 사장이었던 영국인 언론인 배델[배설:裵說]-1

 

                                                     대한 매일신보 사장이었던 영국인 언론인 배델[배설:裵說]-2

 

                                                 대한 매일신보 사장이었던 영국인 언론인 배델[배설:裵說]-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