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성서 이해 제 20강/ 지혜서 |
작성자 : bible114 () | ||
작성일 : 2003/08/24 AM(1:08) | ||
조회수 : 781 | ||
홈페이지 : http:// | ||
링크자료 : http:// | ||
====================================================================================== 지혜서 인간이 지혜롭게 살고자 하는 마음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변함 없는 기본 욕구일 것이다. 구약성서에서 "지혜서"라고 하면 욥기, 잠언, 전도서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 세 권의 책을 지혜서라고 일컫는 이유는 이들 책에는 삶의 지혜가 곳곳에 베어 있기 때문이다. 원래 "지혜"라는 말은 히브리어로 "호크마"라고 하는데, 이 말은 "하캄"에서 유래한 것으로서 그 뜻은 "사람이 성공할 수 있는 기술"을 일컫는 말이다. 이 말이 후에 삶의 처세술나 일종의 생활방법을 가리키는 말로 발전하였는데, 곧 삶의 통찰력을 의미하는 말로 변하게 되었다. 1) 욥기 성서에서 독자들에게 가장 흥미를 자극해 주는 책은 욥기일 것이다. 이 책은 고도의 예술적 기교를 가지고 만들어진 시(詩) 형식으로 된 익명의 작품이다. "욥"이라는 책명이 붙여진 것은 저자성 때문이 아니라 이 책의 중심인물이 욥이라고 하여서 붙여진 것이다. 에스겔 14:14절에 의하면, 욥은 고대의 전설적인 인물이었던 것 같다. 욥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3부로 나눌 수가 있다. 1-2 장 제 1 부: 여섯 개의 장면으로 된 서장(序場) 3장-42:6 제 2 부: 시의 형태로 된 담화(談話)들 42:7-17 제 3 부: 두 개의 장면으로 된 결장(結場) 욥기는 일종의 종교철학을 담은 책으로서 그 주제는 "고난의 문제"이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이 저술된 이유는 "고난은 하나님의 진노 때문이며, 고난 받는 자의 죄 때문"이라는 고대의 잘못된 신앙관에 대한 논박의 성격을 담고 있다. 즉 인간의 고통은 하나님의 응보적 원리에서만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의인이라고 해도 고난을 당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만 의인은 고난 중에서도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버리지 않음으로써 하나님의 구원과 복을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 악인의 고난과 다름을 보여주고 있다. 2) 잠언 잠언은 31장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달마다 하루에 1장씩 읽기에 적합한 책이다. 잠언은 인간의 삶의 자세와 하나님과 인간의 계약적 성격이 무엇인지를 보여주고 있다. 즉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를 밝히는 법도와 규례를 보여주고 있다. 잠언에는 구약성서 전체에 나타나고 있는 역사적 내용이라든지 계시적 사건이나 율법에 대한 언급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것은 잠언 저자가 인간의 경험이나 자연계의 원칙을 관찰하고 묵상하면서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이해와 인간이해를 기술했음을 의미한다. 저자는 인생의 스승이라고 할 수 있는 부모, 연장자 그리고 왕의 입장에서 지혜와 명철을 가르치고 있다. 스승은 인간과 인간과의 바른 관계가 무엇이며(윤리적 교훈), 인간과 하나님과의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어야(종교적 교훈) 할지를 보여주고 있다. 특별히 종교적 교훈에 따르면, 여호와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지혜의 근본이기 때문에(1:7) 그 하나님을 의뢰하며(3:5) 의지할 것을 말하고 있다(30:5). 다시 말하면 하나님을 경외하는 것이 인간의 의무임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23:17). 내용구분: 1:1-7 서론: 제목, 목적, 주제 1:8-9:18 지혜에 대한 가르침 10:1-22:16 솔로몬의 잠언 22:17-24:22 지혜로운 자의 말씀 서른 가지 24:23-34 부기(簿記): 지혜로운 자의 또 다른 말씀 25:1-29:27 솔로몬의 또 다른 잠언 30장 아굴의 말씀 31:1-19 르무엘 왕의 말씀 31:10-31 이합체시: 훌륭한 아내를 칭찬함 3) 전도서 전도서는 하나님을 떠나서는 인간의 모든 것이 헛됨을 말하고 있다.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만이 인간에게 의미 있으며 가치가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생각은 어떤 사상이나 관념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전도자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전도서는 인간의 무상(無常)함의 제일 근거로 인간의 죽음을 들고 있다. 인간의 죽음 문제가 전도서의 중심에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1:11). 전도서의 저자는 인간의 허무만을 강조한 것이 아니라 그 허무를 적나라케 말함으로써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길을 예시하고 있는데, 그것은 하나님만을 사모하는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내용구분: 1:1-2:26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들 3-4장 인생의 실망거리들 5:1-6:9 인생의 위험들 6:10-7:29 숙명론과 비관론 8-9장 숙명을 유리하게 이용함 10:1-11:8 삶을 위한 실제적인 조언들 11:9-12:8 청년과 노인 12:9-14 결어 ====================================================================================== |
'◈◈◈ 구약[舊約]강해 > ◈구약성경 강해(舊約)[종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약 성경 개관(2) (0) | 2008.04.08 |
---|---|
구약 성경 개관(1) (0) | 2008.04.08 |
제목 : 성서 이해 제 19강/ 시가서 (0) | 2008.04.08 |
성서 이해 제 13강/ 역사서 (0) | 2008.04.08 |
신명기 사가의 역사서 (0) | 2008.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