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聖地 · 선교사/1.國內 성지순례歷史교회文化탐방

[스크랩] 한서남궁억유적지

영국신사77 2008. 4. 4. 00:52

홍천군 서면 모곡리에 가면 일제 강점시 누구보다도 뜨거운 가슴으로 나라사랑을 실천한 남궁억선생을 기리는 기념관과 예배당 및 묘소(한서초등학교 뒤 유리봉)가 있다.

기념관에는 남궁억선생의 약력 및 업적에 대한 자료와 사진자료를 소개하고 있으며, 전시실 옆에는 일제에 의해 강제 폐쇄되었던 예배당을 복원해 놓았다.

남궁억은 대표적인 개화파의 한사람으로 정치보다도 교육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었으며, 민영환이 세운 흥화학교에 강사로 나가 학생들에게 개화사상과 애국정신을 가르쳤다.  독립협회에 가입하여 개혁운동에도 참여하였으나 독립협회운동이 실패로 돌아가자 남궁억은 언론계에 투신하게 된다.

독립신문을 편집한 경험을 살려서 황성신문 사장으로 취임한 남궁억은 1902년 일본이 러시아와 한반도 분할안을 토의하는 것을 폭로하여 일제의 침략야욕을 백일하에 폭로하였다. 그 때문에 심한 고문을 받아 병약한 몸이 되었고 황성신문 사장직을 사임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남궁억은 무엇보다도 자기 분수에 맞게 각자 할 일에 충실하는 것만이 살길이라고 믿고 여성교육의 일선에 나서 무궁화를 통한 애국심의 함양과 여권의 신장에 온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그는 교단을 떠나야했고 고향에 내려온 남궁억은 먼저 모곡리 고향 마을에 교회를 짓고 주일학교를 시작하였다.

남궁억 교장은 학교 뒤뜰에 무궁화 밭을 일구어 7만이나 되는 많은 무궁화 묘목을 길러서 몰래 나누어주기 시작하였다. 그는 또 무궁화 노래를 지어 널리 퍼뜨려 민족정신을 일깨웠다. 나라꽃 무궁화처럼 독립운동을 하는데 무난한 상징물은 달리 없었다. 남궁억은 무궁화만이 아니라 국어와 국사교육을 통해 민족정신을 고취하였다. 그가 직접 쓴 역사책으로 <동사략>이 있고 <조선이야기>라는 동화도 국사책이었으며 국사교육이 더욱 어려워지자 <조선어 보충>이라는 한글책에 국사이야기를 담아 가르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남궁억의 외로운 민족운동은 1933년 무궁화 십자당사건으로 끝을 맺게 되었다. 모진 일본경찰의 고문을 받아 병이 든 남궁억은 그 여독(餘毒)으로 1939년 77세를 일기로 한 많은 일생을 마감하였다. 그러나 그의 무궁화정신은 우리들 마음속에 살아남아 우리의 민족사와 영원히 함께 할 것이다.

문화관광부는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이며, 황성신문을 창간하고 무궁화보급운동을  전개한 한서 남궁억(翰西 南宮檍 : 1863∼1939)선생을
2000년 1월의 문화인물로  선정하였다.

 

 

 

 

 

 

 

 

 

 

 

 

 

 

 

출처 : badasajin (바다사진)은 강원도 여행 소개
글쓴이 : 강원도 여행정보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