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神學 · 敎理· 교회사

**제 1 장. 신학의 개념 <장관섭목사>

영국신사77 2007. 3. 28. 22:04
              조직 신학
 
 
     序論
 
 
 
 
                     제 1 장. 신학의 개념
 
                                        제 1 절. 신학의 정의
 
                                  *. 본 내용은 무단 복재를 금합니다 인용은 출처를 명시 바랍니다   

                                                                                                                     장관섭 목사

 

 

출처 블로그 > 쉴만한물가
원본 http://blog.naver.com/mokpojsk/130003811170
    
                               
                                                                                        
            

  신학(神學)의 원천을 종교 경험에서 찾는 자유주의 신학자들 중에, 신학을 "종

 

교의 학(學)"이라고 한다. 이들은 신학은 종교를 근거로 해서 존재할 뿐 아니라,

 

`신학의 학(學)" 즉 그 조직과 계통 및 내용이 종교로부터 발달하는 것이라고 주

 

장한다. "신학은 종교학으로서 종교적 사실 및 원리를 그 가장 보편적이며 정미

 

한 현상 그 내적 관계 그 유기적 일치 및 조직적 독립에서 표현하는 학문이다"

 

고 한다.

 
 

  그러나 신학의 원천을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서 찾는 기독교 본연의 신학의

 

정의는, 신학을 하나님에 관한 이론 또는 학문이라고 규정짓는 것이다.

 

  18세기 철학자 칸트(Kant)는 말하기를 "인간은 인간의 경험을 초월하는 것에

 

대해서는 이론적 지식을 가질 수가 없기 때문에, 학문적 체계를 구성하지 못한

 

다 하여, 하나님에 관한 학문으로서의 신학은 불가능하다" 고하였다. 그래서 하

 

나님과 그의 창조물에 대한 관계는 신앙으로만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였다

 

  슐라이어막허(Schleiermacher)는 "신학을 기독교 신앙의 학 혹은 경건이라 하

 

여 주관적 감정적 경험에 치중하여 정의"하였다. 그는 또 말하기를 "과거에는

 

하나님을 외형적으로 연구했으나 이제부터는 인간이 주체 세력이 되어 연구하

 

여야 한다" 고하였다. 즉 신학은 하나님 자신에 관한 연구가 아니고, 하나님을

 

찾으려는 인간의 노력에 관한 연구이며, 인간의 종교적 경험에 대한 연구에 불

 

과하다는 것이다.

 

  20세기의 신정통주의자인 칼 바르트(Karl Barth)는 신학을 하나님에 관하여

 

연구하던 그 전의 위치로 복구시키려는 시도를 해 보았으나, 그는 실패하고 말

 

았다. 그 이유는 그 자신이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인 성경에 대한 개념을 받

 

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칸트, 슐라이어막허, 바르트의 하나님에 관한 연구을 보면, 저술한

 

내용들은 하나님에 관한 인간의 개념이요, 변화하기 쉬운 인간의 종교적 경험

 

에 대한 것이었다. 그들은 참으로 하나님에 관하여 이야기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그들의 연구를 "신학적 연구"라고 본다는 것은 근본적으로 올바르지

 

못하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근본적 부정직이 가장 현대적이라고 하는 소위

 

"신학적 연구" 의 대표적인 것으로 오해되고 있다. 이는 신학의 개념에 대한 현

 

대적 왜곡이다.

 

 

  ①그러면 신학은 어떻게 정의되어야 하는가?

 

  신학을 영어로 데오로지(Theology)라고 하며, 독일어로는 데오로기에

 

(Theologie)라고 하는데, 이 말은 헬라어로 "데오스 로기아"에서 나왔다. 이 단

 

어 `데오로기아`는 헬라어 "데오스" (하나님)와 "로고스"(말씀)의 합성어로서,

 

하나님에 관한 학문`을 의미한다.

  

  개혁파 신학자들은 일반적으로 신학을 그 어의(語意)와 조화되도록 `하나님에

 

관한 지식` 혹은 `학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것은 신학이 하나님에 관한 지

 

식을 근본으로 하기 때문에, 하나님을 신학의 객관적 대상으로 하여 정의하는

 

것이다.

 

  그러나 신학은 하나님의 인격만을 대상으로 하지 않는다.신학은 하나님의 사

 

역, 즉 하나님의 피조물인 우주도 그 대상으로 한다.

  

  그러므로 워필드는 "하나님과 하나님의 우주에 대한 관계를 논하는 학문이

 

다"고 했다.

 

  ②바빙크는 "하나님에 관한 지식의 학문적 체계, 특별히 기독교 입장에서 하

 

나님이 자기에 관하여 자기의 말씀으로 교회에 계시하신 지식이다"고 하였다.

 

  

        -------------------------------------------------------------------------------
        ①라보도.김달생,바른신학, 바른 신앙사.1992.p34
        ②" The Idea of Systematic Theology", Preesbyterian and Reformed Review.1986 p.248
        ③ Bavinck, Gereformeerde Dogmati다. Vol. 1, p.15
      --------------------------------------------------------------------------------

  ③ 카이퍼는 "신학이란 계시에 의해 하나님에 관한 지식을 논하고 그것의 논

 

거들을 활용, 소화, 통일하고 또 그것들을 사람의 의식에 만족한 형식으로 작성

 

하려는 학문이라고 말하면서, 계시된 하나님의 지식 연구의 대상으로 하여 그

 

것을 통찰에 부치는 학이다"고 하였다.

 

  ④하나님은 학문적 연구의 직접 대상이 아니고, 하나님은 자기 말씀 중에 계

 

시하신 한에서만 신학의 대상이다. 즉, 하나님은 신학의 궁극적 대상이시나, 직

 

접 대상은 아니다.

 

  찰스 하지도 신학의 대상은 성경의 진리와 사실들에서 발견되므로, 신학자는

 

그것을 `상호 내면적 관계에 의해서 수집, 인증, 배열, 전시하여야 한다"고⑤ 하

 

였으며, "신학은 성경의 사실들을 조직화하고 그 사실들이 포함하는 원리들을

 

또 일반적 진리들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고⑥ 하였다.

 

 

  조직신학의 3가지 요소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조직신학의 내용 : 하나님과 하나님의 우주에 대한 관계.
  
  ② 조직신학의 자료 : 성경.
  
  ③ 조직신학의 주체 : 신앙인(중생자).
  

  조직신학은 하나님의 계시인 성경의 진리와 사실들에서, 하나님과 하나님의

 

우주에 대한 관계, 인간 창조, 섭리, 구속, 구원의 과정, 교회, 종말에 관한 일들

 

을 논하는 학문이다.

------------------------------------------------------------------------------------
④ Encyclopaedie,der Heilige Godgeleerdheid, Vol. ∏,p.249
⑤ Systematic,Theology, Vol. 1. p.1
⑥ Ibid, p.18
------------------------------------------------------------------------------------

 

 

  제 2 절. 신학과 다른 학문과의 관계
 
             1. 신학과 종교
 

  신학은 종교학(宗敎學)이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는 신학보다 선행되어야 한

 

다. 종교는 신학에서 다루어야 할 재료를 제공해 준다. 종교는 인간의 삶을 통

 

하여 경험되는 지(知)·정(情)·의(意)를 포함한 전반적인 전체 이론에 선행되어

 

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종교학은 신학적 지식이 없어도 삶을 통하여 풍부한 경험과 종

 

교적 신앙으로 풍부한 생활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완전한 신학체계가 수반되지 않는 종교생활은 맹목적이거나 오류를

 

범하기 쉽다. 그러므로 종교의 원리를 중심으로 한 신학과, 신학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생활은 언제나 필수불가결한 것으로, 신학은 종교의 지적인 면이라고

 

할 수 있다.

 

 

   
                                    2. 신학과 철학
 
                 1) 신학과 철학의 공통점
 

  ① 신학과 철학은 인생의 궁극적 문제를 추구하는 목적의 공통점은 같다.

    

  ② 신학과 철학은 이성이 추구하는 지식을 내포하는 공통점을 가진다.

  
 
                       2) 신학과 과학의 다른 점
    

  ① 진리를 추구하는 방법은 다르다.

    

  ㉠ 신학(神學)은 성령의 은혜로 진리를 깨닫고, 하나님의 실존(實存)를 믿음

 

으로 확신하고, 살아 움직이는 실유(實有)를 믿고, 하나님과 성도는 서로 교통

 

하면서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다.

 

  종교 는 지식을 포함을 하지만 생활이다. 생활은 인간의 삶 전체를 뜻한다.

 

 

  ㉡ 철학(哲學)은 인간의 지성에 의해 진리를 논리적으로 추구하며, 하나님존

 

재 자체가 논란의 대상이 되며, 하나님은 관념 속에 갇혀 있는 정적인 존재가

 

되면서, 하나님의 의미와 영혼불멸에 대하여 논하는데 그친다.

 

 

                              3. 신학과 과학
  

  과학은 사실적 현상과 이성적 추리, 연역들을 귀납법적으로 원리나 법칙을 발

 

견하는 방식으로 각 분야의 경험을 현실에 대한 지식으로서의 기술하는 것이

 

다. 그래서 과학은 물체의 본질을 분석하고 결합시켜 그 용도를 추구하여 풍요

 

로운 문명사회를 이루는데 크게 기여했다. 그래서 과학은 형이하학적(形而下學

 

的) 분야의 것을 수집, 조사, 분석, 비교, 분류, 상호관계를 체계화한다.

 

  과학은 인간의 궁극적인 존재목적(存在目的)과 의의(意義)를 알지 못하며, 형

 

이상학적(形而上學的)인 종교의 계시에 대한 신학을 알지못한다.

 

  신학은 하나님의 계시의 산물로서의 종교 분야로 인간의 경험을 자료로 연구

 

하며, 과학은 과학자가 탐구한 그 분야의 경험의 사실을 증명하기 위하여 지각,

 

개념, 증명, 추리 등의 능력과 법칙들을 지닌 이성이다.

 

  계시 분야를 신앙으로 경험한 것을 학문으로 체계화시킨 신학이나 ,자연과학

 

을 통한 자료를 과학적으로 체계화한 것이 똑같은 성격을 지니고 있다.

  

  과학의 탐구체계와 신학의 형이상학적(形而上學的) 분야는 상당한 차이가 있

 

다. 과학은 나타난 자연계시의 부분을 연구하지만, 신학은 나타난 초자연계시

 

부분을 연구하는 것이다.

 

 

  제 3 절. 신학의 목적
 

  신학을 하나의 학(學)으로 정의할 때, 학(學)이란 무엇인가? 학(學)이란 발견

 

하는 것이요, 창조하는 것이 아니다. 주관적이 아닌 객관적인 사실들을 발견하

 

여 관계와 원리들을 설명하고 종합하는 일을 한다.

 

  이와 같이 신학도 하나님에 관한 사실들을 발견하여 확인하고 전시하되, 창조

 

하지 않는다.

 

  신학의 목적은
  

  ① 성경의 모든 요소들의 의미를 분별하는 것이다⑧. 이렇게 성경의 매 구절

 

들을 석의한다.

  

  ② 성경의 각 구절에서 얻은 모든 위대한 진리들을 논리적으로 구분하고 세별

 

하고 체계화한다.⑨

  

  ③ 성경의 진리들을 논리적 배열로 구성한 후,그것들을 상호 관련하여 연구한

 

다. 즉, 성경에 이산된 위대한 진리들 사이에 있는 모든 연줄(Connec- ting

 

Links)들을 발견하여 연구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삼위일체 교리와 구원론 사이의 관계는 무엇인가?  성부는 구원을

 

계획하시고,성자는 그것을 성취하시고, 성령은 적용시켰다는 것이다.

 

  ④ 성경의 모든 진리를 전체적으로 조직화하고 이 진리 자체들이 아주 분명하

 

게 눈에 돋보이도록 하기 위하여 진리에서 떠난 역사적 배교와 관련하여 이것

 

을 전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기독론을 연구할 때는 그리스도의 인격과 사역에 관한 역사적 오류

 

들을 주의해야 한다. 어떤 단체의 교훈이 이단인지 분명한 요점을 주의하면 곧

 

하나님의 말씀의 진리가 아주 밝게 빛날 것이다.⑩

 

-------------------------------------------------------------
⑦ 라보도. 김달생 공저, 바른신학, 바른신앙사. p.37
⑧ 주경신학 분야
⑨ 조직신학 븐야
⑩ 역사신학 분야

-------------------------------------------------------------

 
*.  본 조직신학의 서론 요약에 관한 저적권은 신학교수이신 장관섭 목사님에게 있으므로 무
    단 복재 사용이나 타 용도로 사용 될 수 없으며, 인용시는 반드시 그 출처를 명기하여 주시
    바랍니다.                                                                                  2002.9.8 드림.

 

'† 神學 · 敎理· 교회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2 장. 신학의 자료  (0) 2007.03.28
쉽게 풀어 쓴 신학의 개념(평신도용)  (0) 2007.03.28
하나님의 속성  (0) 2007.03.28
하나님의 본질  (0) 2007.03.28
그리스도인의 역사의식  (0) 2007.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