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소화 덜 되는 사슬 형태 탄수화물
마른미역·김·콩·채소 등에도 듬뿍
섬유소 많이 먹으면 30% 더 장수
나이들면 면역 자동조절 기능 저하
흥분 상태인 면역이 만성염증 돼
심혈관 질환·치매·당뇨 등 유발
2019년 뉴질랜드 연구진은 40년간 4635명이 무얼 먹었고 그래서 몇 살까지 살았는지 임상결과를 추적했다. 먹고 오래 살았다면 그게 최고 음식이다. 많이 먹을수록 수명이 늘어난 영양소가 ‘딱’ 하나 있었다.
섬유소다.
히포크라테스 “모든 질병은 장에서 출발”
섬유소는 야채·과일·통곡물(겉껍질만 벗긴 곡물)에 많다. 야채즙을 짜면 수용성 섬유소는 물에 녹는다. 불용성은 찌꺼기로 남는다. 섬유소는 사슬의 성분·길이·구조가 다양하다. 사람 세포는 녹말 같은 수용성은 분해하지만 불용성, 예를 들면 나무성분인 셀룰로오스는 소화하지 못한다. 그 대신 장내미생물이 일부 분해한다.
왜 섬유소가 장수물질일까. 장운동 촉진, 쾌변 유도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다. 섬유소에서 특별한 장수물질이 나오는가? 혹시 섬유소 기초성분인 단순당(포도당, 과당 등)이 무슨 영향을 줄까. 하지만 청량음료 속 단 고과당 시럽(단순당)은 장수는 커녕 대장암을 유발한다(2019년 저명학술지 ‘사이언스’). 왜 같은 당 성분인데 섬유소처럼 길면 장수를, 고과당 시럽처럼 짧으면 암을 일으키나. 기원전 400년대 고대 그리스 의학자 히포크라테스가 힌트를 준다. “모든 질병은 장(腸)에서 출발한다.” 왜 장이 그리 중요한 곳일까.
2019년 독일 막스델부룩 연구센터는 장내미생물이 섬유소를 분해해서 고혈압·심장병을 막는다고 심혈관전문지(서큐레이션)에 보고했다. 섬유소를 먹인 쥐의 수축·이완기 혈압, 심장 섬유화, 좌심실비대증이 줄었다. 심혈관 마스터유전자(Egr1)가 제대로 작동했다.
섬유소①가 장내미생물②에 의해 분해되어 신호물질③이 된다. 이후 대장점막④을 통과해서 내부 면역세포⑤를 진정시킨다. 신호물질은 혈관⑥을 통해 심장, 두뇌 등 다른 장기로 이동하여 염증을 가라앉힌다.
식품별 섬유소
[김철중의 아웃룩] 77세 박정자의 목소리, 여전히 맑고 힘 있는 비결 (0) | 2019.06.15 |
---|---|
“하나님이 주신 자연치유력 강화하면 질병 대부분 극복” / 노박의원 노태성 원장이 말하는 암 예방법 9가지 (0) | 2019.06.02 |
청국장을 약이라고 생각하고 먹는다? 그냥 맛있게 먹자 (0) | 2019.05.13 |
[임재준의 의학노트] 명품의 의학적 효과 (0) | 2019.05.01 |
[김철중의 생로병사] 외출과 약속 건수가 그 사람의 건강 수명이다 (0) | 201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