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정보통신

LTE[ Long Term Evolution ]

영국신사77 2016. 4. 26. 12:54
트렌드 지식사전 2

LTE

[ Long Term Evolution ]4G 이동통신 기술을 말한다. G는 세대를 의미하는 Generation의 약자다.
 Long Term Evolution을 문자 그대로 해석하면 ‘오랫동안 진화한 것’인데, 장기간에 걸쳐 기존 시스템을 발전시킨 기술이라는 뜻이다. 
LTE가 3세대 이동통신과 구별되는 가장 큰 특징은 속도에 있다. LTE는 정지 상태에서 1Gbps(1000Mbps), 60킬로미터 이상 고속 이동시에는 100Mbps 이상의 속도를 제공하는데, 이는 시속 120킬로미터로 달리는 자동차에서 700메가바이트짜리 영화를 3분 만에 다운로드할 수 있는 속도다.1)

한국은 모든 면에서 세계적인 LTE 강국이다.
한국은 세계 최초로 LTE 전국망을 구축했으며, 2013년 5월 현재 전 세계 LTE 스마트폰 3대 중 1대는 한국산이다. 가입자 수도 그렇다. 2013년 6월 현재 한국의 LTE 가입자는 약 2,300만 명으로, 이는 서비스가 시작된 지 불과 2년 만에 3G 가입자를 넘어선 것이다.2) LTE 특허의 절반 가량도 한국 기업과 연구소가 차지하고 있다.3)

한국이 LTE 강국이 된 이유는
한국인의 삶의 문법으로 자리한 빨리빨리 문화 탓도 크지만 이통사 간의 역학 관계와 공동의 이해관계도 무시할 수 없다. 이순혁은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은 가입자가 전체 인구보다 많을 정도로 과포화되어 있어 가입자 확대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이통사들은 매출과 이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입자의 요금을 늘리는 방식으로 진화해왔는데, 이게 LTE 강국의 연료가 되었다고 말한다.

최고 사양의 스마트폰을 선호하는 개개인들의 취향도 있지만 
LTE 서비스로 갈아탈 것을 강권하다시피 한 통신사들의 밀어붙이기식 마케팅의 결과라는 것이다.4) 
2013년 이통사들 사이에서 벌어진 광대역 LTE LTE-A 경쟁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겠다.

LTE 시대의 개막으로 가장 달라진 것은 모바일 이용자의 콘텐츠 이용 행태다. 동영상 콘텐츠 수요의 폭증이 대표적이다. 전체 무선 트래픽에서 동영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3G 시절 38퍼센트에 불과했지만 LTE 시대 진입 이후에는 44퍼센트로 늘어났으며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바로 그런 동영상 소비족을 겨냥하고 동영상 스트리밍 사이트나 앱도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5) LTE가 3G와 가장 차이 나는 게 바로 속도라는 점에서 이는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다.

한국은 LTE를 넘어 광대역 LTE LTE-A로 진화하고 있지만 세계 시장에서 LTE는 이제 막 떠오르기 시작한 핫 트렌드다. 2013년 5월 LTE 이용자는 전 세계적으로 갓 1억 명을 넘어섰기 때문이다. 2009년 12월 세계 첫 LTE상용화가 이루어진 지 3년 6개월 만의 일이다.

LTE를 주도하고 있는 국가는 한국을 비롯해 일본, 미국, 캐나다, 호주 등 5개 국가로, 이들 국가의 LTE 가입자는 전체 가입자의 90퍼센트에 이른다.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산하 조사업체인 와이어리스 인텔리전스는 2017년까지 LTE 가입자가 9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하고 있는데,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세계 시장에서 LTE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도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6)

[네이버 지식백과] LTE [Long Term Evolution] (트렌드 지식사전 2, 2014. 5. 23., 인물과사상사)

두산백과

LTE

[ long term evolution ]
요약
HSDPA(고속하향패킷접속)보다 12배 이상 빠른 고속 무선데이터 패킷통신 규격을 가리킨다.

롱텀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의 머리글자를 딴 것으로, 3세대 이동통신(3G)을 '장기적으로 진화'시킨 기술이라는 뜻에서 붙여진 명칭이다. WCDMA(광대역부호분할다중접속)와 CDMA(코드분할다중접속)2000으로 대별되는 3세대 이동통신과 4세대 이동통신(4G)의 중간에 해당하는 기술이라 하여 3.9세대 이동통신(3.9G)라고도 하며, 와이브로 에볼루션과 더불어 4세대 이동통신 기술에 해당한다.

3세대이동통신 무선표준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3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가 2008년 12월 확정한 표준규격 '릴리스(Release) 8'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따라 채널 대역폭은 1.25~20MHz이며, 20MHz 대역폭을 기준으로 하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100Mbps, 상향링크의 최대 전송속도는 50Mbps이다. 무선 다중접속 및 다중화 방식은 OFDM(직교주파수분할), 고속 패킷데이터 전송 방식은 MIMO(다중 입출력)를 기반으로 한다.

이를 이용하여 3세대 이동통신의 HSDPA보다 12배 이상 빠른 속도로 통신할 수 있고, 다운로드 속도도 최대 173Mbps에 이르러 700MB 용량의 영화 1편을 1분 안에 내려받을 수 있으며, 고화질 영상과 네트워크 게임 등 온라인 환경에서 즐길 수 있는 모든 서비스를 이동중에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 기술은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에서 진화한 것이기 때문에 기존의 네트워크망과 연동할 수 있어 기지국 설치 등의 투자비와 운용비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8년 12월 LG전자가 세계 최초로 단말기용 LTE칩을 개발하였고, 2009년 12월 북유럽 최대의 통신사 텔리아소네라(TeliaSonera)가 한국의 삼성전자에서 제작한 LTE 단말기를 통하여 세계 최초로 상용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정보통신 > 정보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정통신  (0) 2016.05.22
전기통신사업법  (0) 2016.05.22
LTE/ 4세대 이동통신을 향하야 |  (0) 2016.04.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