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촌 (杏村) 의 시성과 이념은 자연 질서를 근본으로 사물에 이르자는 행적
세계시인대회의 이상과 꿈
“자연현대 (Natural Modernism 開天, 開闢)의 소고”
백한이(WCP/WAAC본부회장)
Natural Modernism의 핵심은 자연의 순리에 따르자는 것입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이 자연 속에 있다는 불변의 명제에서 출발하여 인간의 모든 불행은 자연을 거스름으로 해서 기인한다는 논리입니다. 즉, 자연, 생명, 인간, 문명이 조화를 이룸으로써 승화하는 문화향유만이 미래지향적 복지사회로 나아갈 수 있다라는 것입니다. 지금처럼 사회가 고도로 발달한다는 것은 그만큼 자연과의 거리가 멀어진다는 의미이고 테크놀로지의 진보에 따른 개인의 고립화가 심각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Natural Modernism의 이해를 좀더 쉽게 하기 위하여 포스트모더니즘이론 이전까지 사회에 주류를 이루던 사조를 조명하였습니다.
이 글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조 내지 근원지로 보고 있는 인물은 토인비와 움베르토 에코입니다. 토인비의 <A Study of History> 에서 발생의 흔적을 움베르토 에코 <Der Name der Rose> 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이 적용된 예를 들고 있습니다. 그 후 미술, 건축, 문학에서 모더니즘과의 상이점들을 나열하며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을 설명하는 방법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결론은 모더니즘이 엘리트적이며 특정 계층을 위한 성격이 강하고, 일방적 대화로 성립된 반면, 포스트모더니즘은 그와는 반대적인 즉, 대중적이고 상호 호환적이며 실용성과 예술성이 조화를 이룬다는 것입니다. 슈투트가르트 미술관, 두부모, 칸딘스키, 러시아 아방가르드 등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논리를 보충하기 위한 논거들입니다.
포스트모더니즘이 모더니즘의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제창, 발전하였듯이 이제 기득권의 권위를 불식하지 못하여 산업 쓰레기 화 하려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고 모든 원천적 자연 (양심의 자유) 을 향유, 인류의 평화로운 공존과 발전적 사고의 모델로 제시된 것이 Natural Modernism이라 하겠습니다.
세계 어느 나라가 전제 군주 제국주의에 의해 식민지가 되었을 때 민족을 배반한 변절자 (가장 순절해야 할 문학, 정신문화에서 변절하므로 인해 그 민족 저변에 개인의 영달을 위한 변절자가 늘어나는 사실) 가 생기고 해방을 맞이하여서도 그들을 단죄하지 못하고 변절문화가 계속 지배하는 것은 자연의 순리를 따르지 못했다고 보는 것입니다. 그 후 청산해야 할 과거를 묻어둔 채 먹고 입을 것을 구하기 위해 산업화에 전 국민이 매달려 이제 살만하다는 말이 나왔지만 그 국민이 자연을 파괴하는 대가는 어김없이 현재 우리 지구촌 사회에 돌아오고 있는 것입니다. 기상이변에 의한 천재지변, 인간성의 상실로 인한 반인륜적 범죄들, 극도의 개인화와 자연낭비 등 인류가 자연에서 멀어질수록 종말로 향하는 시침은 빠르게 달려가고 있는 것입니다.
여기에서 노벨에 대하여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자연으로 순응하고자 하는 인간의 모습을 보여 준 예라 하겠습니다. 현재의 대중문화는 도시 산업사회의 잡다한 소비문화로 변질되어 사회의식은 미래지향적이고 사람들은 선정적 매스미디어에 의해 미치광이가 되고 인간다운 정서는 잠식되어 가고 있습니다.
필자는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 대안으로 자연 현대 (Natural Modernism) 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산업과학 문명에 수반하는 대중문화의 전진 화는 자연적인 인성에 바탕을 두고 사색과 정서가 메마르지 않게 정신문화에 많은 투자와 정보를 할애해야 진정한 문화로 승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모든 존재의 바탕은 자연 속에 있다는 대 명제를 잊어서는 안 될 것이며 문명의 이기와 재화는 상호보안의 양식, 측정의 신문화를 먹고 자라야 한다는 것입니다.”
Hangchon [杏村]’s Poetic Spirit and Ideology are Achievements Insisting a Natural Order-Based Approach to Things
Brief Thought on Natural Modernism
The centerpiece of Natural Modernism calls for the compliance with the nature. It starts from an unchangeable proposition that every existence is in the Nature, and declares that all ill-fortune of human being is caused by backtracking on the Nature. That is to say, we can pursue future-oriented welfare society through the cultural sharing only in which the nature, life, human and civilization sublimate through harmonization. That the society is highly developed entails being isolated from the nature correspondingly and intensifies personal isolation following technological advances.
To help understand the Natural Modernism, I dealt with the mainstream trend of thought in the run up to the Post Modernism.
Toynbee and Umberto Echo consider the post modernism as the wellspring. Toynbee shed light on the origin of the post modernism in his book <A Study of History> and Umberto Echo introduces examples in which the post modernism is applied in his book <Der Name der Rose>. Since then, he chose the way of explaining the concept of the post modernism by listing differences of the modernism in art, construction and literature.
The conclusion is that the modernism is an eliticism and strongly targets certain class while the post modernism is a popularism, cross-compatible, and practicality and art make harmony. Examples of Stugart Art Gallery, Dubumo, Kandinsky and Russia's Avant Garde are logical basis to supplement his theory.
Just as the post modernism is instituted and evolved as an alternative to the modernism, the Natural Modernism came into being as a model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human being and progressive thought by overcoming the limit of the post modernism, which is on the brink of industrial wastes through its failure to root out the authority of the vested interest, and by sharing all original nature (freedom). The failure of a nation to punish betrayers (the fact that the number of betrayers who seek after their own profit here and there is on the rise due to the betrayal in literature and spirit culture which are supposed to be the most pure) who turned their back on their country when it is colonized by an absolute monarch imperialist even when it is liberated and their culture reigning is the result of not complying with the nature. Putting the past with which we have to come to terms as a whole country behind, the entire people strove for industrialization to resolve the problem of bread and house. Now, they resolved it to a certain level, but the cost of destroying the nature is haunting our society. The more isolate is human being from the nature, the faster the speed of clocks runs to the point of annihilation exhibited by natural calamities following weather abnormality, crimes against humanity owing to forfeiture of man-ness, extreme individualism and waste of natural resources.
Reference to Nobel is an instance showing a human being trying to comply with the nature. Today's mass culture is distorted into motley consumption one of urban industrial society, the social ethos became future-oriented, people go mad driven by sensational mass-media and human sentiment is being eaten into.
I suggest the Natural Modernism as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se problems.
"The advancement of the mass-culture which follows an industrial science-based civilization can evolve into true culture by centering on natural human-ness, investing in spirit culture and putting aside information so that thoughts and sentiment do not dry. In addition, we should not forget the great proposition that the basis of all existence is in the nature, and benefits and assets of civilization must grow by digesting nutrients of cross supplement and new culture of measurement."
'♧ 시와 文學 그림 > 文化공연文學그림讀書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운(片雲) 조병화(趙炳華)문학관을 찾아서 (0) | 2014.10.03 |
---|---|
조병화 시인 (0) | 2014.10.01 |
신사임당의 초충도(草蟲圖)[8폭 병풍] (0) | 2013.09.06 |
신사임당의 초충도/ 국립중앙박물관 (0) | 2013.09.06 |
[한마당-손수호] 예술가의 집 (0) | 2012.06.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