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자" '부자가 돈 써야 … ` 기원전 600년 관자의 지혜 [중앙일보]
[인문사회]民을 배불려라, 天下를 얻으리… ‘관자’
중국의 역사 속에서 최고의 정치사상가를 꼽는 일은 부질없는 짓일지도 모른다. 공자 맹자 순자부터 현대 격동기의 저우언라이(周恩來) 마오쩌둥(毛澤東)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많은 인물들이 명멸해 갔기 때문이다.
그러나 “중국 최고 정치사상가는 단연 관자(管子·기원전 725∼645년경)”라고 자신 있게 말하는 책이 있다. 관중(管仲)이라는 이름으로 더 익숙한 관자는 깊은 우정을 뜻하는 ‘관포지교(管鮑之交)’의 주인공, 역경을 극복하고 환공(桓公)을 도와 제(齊)나라를 중원의 패자로 올려놓은 명재상, 제갈량(諸葛亮)이 자신을 관중에 비유했을 정도로 대단한 인물이었다는 정도로만 알려져 있다. 그런 관중을 중국 최고의 정치사상가라고 하니, 이 대목부터 흥미롭지 않을 수 없다.
‘관자’는 관중과 그의 제자, 그를 흠모했던 사람들이 쓴 글을 모아놓은 책. 관중학파의 사상이 담긴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정치 경제 행정 법률 군사 도덕 등 국가 경영에 필요한 지식과 철학이 집대성된 책으로 국내에 완역본이 소개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이 책에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관중의 면모는 실용주의다. 중국과 한국의 역사에서 유교적인 시각이 강하다 보니 관중이라는 인물이 부각되지 못했던 것이다.
관중이 실용주의적 정치인이라는 사실은 그의 정치사상이 조선 후기의 실학자 다산 정약용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관자’의 맨 첫머리에 나오는 ‘목민(牧民)’이 다산의 ‘목민심서(牧民心書)’에 전해졌기 때문이다.
관중의 ‘목민(정치의 근본원리)’의 핵심은 이렇다. ‘창고가 가득 차면 예절을 알고, 입을 옷과 먹을 양식이 풍족하면 영광과 치욕을 안다.’ 바로 경제와 실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곳간에서 인심 난다’는 우리 속담과도 그 의미가 흡사하다.
관중이 경제와 실용을 중시했다고 해서 인간 삶의 근원이 되는 도(道)와 덕(德)에 소홀했던 것은 아니다. ‘심술(心術·마음의 기능과 수양방법)’ 편은 이렇게 전개된다.
‘욕심을 비우면 신이 들어와 자리하고 깨끗하지 못한 마음을 말끔히 씻으면 신이 머문다’, ‘윗사람이 그 도를 떠나면 아랫사람이 직분을 잃는다’, ‘능력 있는 사람의 능력을 빼앗지 말며 아랫사람의 실질적인 일에 관여하지 말라. 흔들리는 사람은 안정되지 않고 조급한 사람은 고요하지 않으니…고요함은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고요하면 저절로 얻는다’. 이 대목은 철학적 도덕적이면서 동시에 정치적 실용적이다. 통치자의 도덕과 철학에 대해 은근하지만 날카로운 메시지를 전해 준다.
춘추전국시대 군웅할거(群雄割據)의 난세를 극복하고 중원을 장악해 사람들에게 평화를 가져다주었던 관중.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현실을 중시했던 그의 정치 경험이 녹아 있기에 이 책의 메시지는 더욱 실감나게 다가온다.
이광표 기자 kplee@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역자 김필수| 장승구 역| 소나무| 2006.12.15 | 1,064p | ISBN : 8971393300 | |||||||||||||
|
|
![]() |
|
![]() |
|
'偉人*人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포지교 [管鮑之交] (0) | 2007.01.06 |
---|---|
관자 [管子] (0) | 2007.01.06 |
[만물상] 제럴드 포드 (0) | 2006.12.29 |
알렉산더 제국과 헬레니즘 문화 (0) | 2006.12.17 |
알렉산더대왕( Alexander )의 동방원정 (0) | 2006.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