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페라 `아이다(AIDA)`
-
예술 감독 - 이건용(서울시오페라단장)
연출 - 김학민(경희대학교 교수)
지휘 - 정치용(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합창지휘 - 김명엽(서울시합창단장)
출 연 진아이다/ 임세경, 손현경, 손현희
라다메스/ 신동원, 윤병길, 이원종
암네리스/ 이아경, 양송미, 김정미
아모나스로/ 김승철, 박정민, 최기돈
람피스/ 안균형, 박준혁, 김형수
이집트왕/ 최준영, 이준석, 신재훈
무녀장/ 남혜덕, 정주연
전령/ 김민수, 이용희
출연 단체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서울시합창단, 아이다 시민합창단, 시민배우
디 자 인무대디자이너 - 서숙진, 의상디자이너 - 조문수
조명디자이너 - 민경수, 분장디자이너 - 강대영오페라 “아이다(AIDA)" 작품 소개
○ 원작: 오귀스트 마리에트 베이의 시나리오 <아이다>
○ 대본: 안토니오 기슬란초니
○ 때와 장소: 고대 파라오 시대, 이집트의 멤피스와 테베
○ 초연: 1871년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 등장인물: 아이다(소프라노)_암네리스 공주의 여자노예, 원래는 에티오피아의 공주
암네리스(메조 소프라노)_이집트의 공주
라다메스(테너)_이집트 군대의 젊은 장군
람피스(베이스)_제사장
이집트 왕(베이스)_암네리스의 아버지
아모나스로(바리톤)_아이다의 아버지, 에티오피아의 왕주요 음악 및 아리아 소개
"이기고 돌아오리라 Ritorna vincitor" (1막 1장 中 아이다 아리아)
▶ 탄식하며 조국과 사랑 사이, 한 남자의 연인과 한 국가의 공주 사이에서
번민하는 자신의 심정을 노래한 아리아다.
"이집트의 영광 Gloria all'Egitto" (2막 2장 中 합창)
▶ 개선 행진곡으로 알려진 대합창으로써, 트럼펫의 팡파르로 화려한 개선 행렬이
등장하는 그랜드한 장면이다.
"죽음은 아름다운 것 Morir,si pura e bella" (4막 2장 中 이중창)
▶ 지상에서는 사랑을 이룰 수 없었던 두 연인은 그들 최후의 2중창이자 또한
처음으로 사랑을 이루는 2중창인 이 곡을 꿈결처럼 아름답게 부른다.
시놉시스
오페라 <아이다>는 파라오를 섬기던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다.
파라오의 딸인 이집트 공주 암네리스는 에티오피아 포로 출신의 아이다를 몸종으로 데리고 있다. 아이다는 사실 에티오피아의 공주였지만, 이 사실을 숨기고 있다.
암네리스는 장군 라다메스를 흠모하고 있고, 라다메스와 아이다는 이미 몰래 사랑하고 있는 사이다.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사이에는 다시 전쟁이 일어나고, 라다메스는 이집트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전쟁에 나가게 된다. 그 사이 수상함을 느낀 암네리스는 아이다를 다그쳐 둘이 연인 사이 임을 확인하고 분노한다.
마침 전쟁에서 승리는 병사들의 개선을 알리는 소리를 듣게 되고, 전쟁에서 끌려온 포로 중에는 아이다의 아버지인 에티오피라의 왕 아모나스로가 신분을 숨기고 있다. 이집트 왕은 승리에 대한 포상으로 라다메스를 암네리스와 결혼 시킨다고 엄포한다.
결혼식 전날, 아모나스로는 아이다에게 탈출로를 알아내라고 다그치고 이과정에서 라다메스는 그녀에게 군사기밀을 누설하고 반역죄로 체포된다. 감옥에 갇힌 라다메스에게 암네리스는 사랑을 간청하지만 거절당한다.
결국 라다메스는 지하무덤에 갇혀 생매장을 당하는 형을 선고받고, 무덤에 들어온 라다메스는 미리 들어와 있던 아이다를 만난다. 두 연인은 지상에서 이루지 못한 사랑을 다음 세상에서 이룰 것을 기약하며 서서히 죽어간다.
2013 서울시오페라단 정기공연
오페라 "아이다(AIDA)"
="프로그램 및 출연진 소개"
-
제 작 진
예술 감독 - 이건용(서울시오페라단장)
연출 - 김학민(경희대학교 교수)
지휘 - 정치용(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합창지휘 - 김명엽(서울시합창단장)
출 연 진아이다/ 임세경, 손현경, 손현희
라다메스/ 신동원, 윤병길, 이원종
암네리스/ 이아경, 양송미, 김정미
아모나스로/ 김승철, 박정민, 최기돈
람피스/ 안균형, 박준혁, 김형수
이집트왕/ 최준영, 이준석, 신재훈
무녀장/ 남혜덕, 정주연
전령/ 김민수, 이용희
출연 단체경기필하모닉오케스트라, 서울시합창단, 아이다 시민합창단, 시민배우
디 자 인무대디자이너 - 서숙진, 의상디자이너 - 조문수
조명디자이너 - 민경수, 분장디자이너 - 강대영오페라 “아이다(AIDA)" 작품 소개
○ 원작: 오귀스트 마리에트 베이의 시나리오 <아이다>
○ 대본: 안토니오 기슬란초니
○ 때와 장소: 고대 파라오 시대, 이집트의 멤피스와 테베
○ 초연: 1871년 카이로 오페라 하우스
○ 등장인물: 아이다(소프라노)_암네리스 공주의 여자노예, 원래는 에티오피아의 공주
암네리스(메조 소프라노)_이집트의 공주
라다메스(테너)_이집트 군대의 젊은 장군
람피스(베이스)_제사장
이집트 왕(베이스)_암네리스의 아버지
아모나스로(바리톤)_아이다의 아버지, 에티오피아의 왕주요 음악 및 아리아 소개
"이기고 돌아오리라 Ritorna vincitor" (1막 1장 中 아이다 아리아)
▶ 탄식하며 조국과 사랑 사이, 한 남자의 연인과 한 국가의 공주 사이에서
번민하는 자신의 심정을 노래한 아리아다.
"이집트의 영광 Gloria all'Egitto" (2막 2장 中 합창)
▶ 개선 행진곡으로 알려진 대합창으로써, 트럼펫의 팡파르로 화려한 개선 행렬이
등장하는 그랜드한 장면이다.
"죽음은 아름다운 것 Morir,si pura e bella" (4막 2장 中 이중창)
▶ 지상에서는 사랑을 이룰 수 없었던 두 연인은 그들 최후의 2중창이자 또한
처음으로 사랑을 이루는 2중창인 이 곡을 꿈결처럼 아름답게 부른다.
="홈페이지를 통해인터넷 예매하시면 예매수수료가 없습니다. 전화예매는 장단 천원의 예매수수료가 있습니다. (단, 유료회원은 전화예매 시 수수료 면제입니다.)"
시놉시스
오페라 <아이다>는 파라오를 섬기던 고대 이집트를 배경으로 한다.
파라오의 딸인 이집트 공주 암네리스는 에티오피아 포로 출신의 아이다를 몸종으로 데리고 있다. 아이다는 사실 에티오피아의 공주였지만, 이 사실을 숨기고 있다.
암네리스는 장군 라다메스를 흠모하고 있고, 라다메스와 아이다는 이미 몰래 사랑하고 있는 사이다. 이집트와 에티오피아 사이에는 다시 전쟁이 일어나고, 라다메스는 이집트 총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전쟁에 나가게 된다. 그 사이 수상함을 느낀 암네리스는 아이다를 다그쳐 둘이 연인 사이 임을 확인하고 분노한다.
마침 전쟁에서 승리는 병사들의 개선을 알리는 소리를 듣게 되고, 전쟁에서 끌려온 포로 중에는 아이다의 아버지인 에티오피라의 왕 아모나스로가 신분을 숨기고 있다. 이집트 왕은 승리에 대한 포상으로 라다메스를 암네리스와 결혼 시킨다고 엄포한다.
결혼식 전날, 아모나스로는 아이다에게 탈출로를 알아내라고 다그치고 이과정에서 라다메스는 그녀에게 군사기밀을 누설하고 반역죄로 체포된다. 감옥에 갇힌 라다메스에게 암네리스는 사랑을 간청하지만 거절당한다.
결국 라다메스는 지하무덤에 갇혀 생매장을 당하는 형을 선고받고, 무덤에 들어온 라다메스는 미리 들어와 있던 아이다를 만난다. 두 연인은 지상에서 이루지 못한 사랑을 다음 세상에서 이룰 것을 기약하며 서서히 죽어간다.
="세종문화회관을 방문하여 공연 및 전시를 관람하신 관객은 세종문화회관 부설주차장(지하2층) 주차시 요금을 할인 받으실 수 있습니다.(지하3층~6층 이용고객은 정상요금) 주차요금을 할인받으시려면 매표소에서 주차권을 받으셔서 사전정산기를 이용하여 주시고 기타 할인 적용은 관련 발행증서를 지참하시어 유인정산소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 ="공연이 시작된 이후에는 안내원의 유도에 따라서만 입장할 수 있으며, 본인 좌석이 아닌 빈 좌석으로 안내될 수 있습니다."
- 출처:서울시 오페라단
세종문화회관 전속 예술단체, 오페라 공연일정, 예매정보, 사진갤러리 제공.
'♪♪ 음악가演奏會문화행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피아니스트 정재원 독주회 (0) | 2013.04.01 |
---|---|
정재원 피아노 독주회 (0) | 2013.03.12 |
윤신숙 작가 <동영상과 사진> (0) | 2013.02.12 |
테너 하만택 우리곁의 클래식 10주년 2013년 신년음악회 <동영상> (0) | 2013.02.04 |
"보석의 노래' 구노의 '파우스트' Sop.안수경 (0) | 2013.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