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314장/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영국신사77 2018. 6. 12. 14:33

314장/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E. P. Prentiss 작사 · W. H. Doane 작곡)

《통일 찬송가, 1983》 511장

 

 

이 찬송이 우리 찬송가에 처음 채택된 것은 언더우드의《찬양가, 1894》82장으로서 언더우드 선교사 번역인데, 현재의 가사는《찬숑가, 1908》186장에서 이를 수정한 것이다.

 

 

 

언더우드의《찬양가, 1894》82장

 

이게 1984년 4월,  이 땅에 온지 10년에 언더우드 선교사가 번역하여 출판까지 한 찬송이다. 그 후 14년, 《찬숑가, 1908》편집 때에는 하나님이 이 땅에 보내주신 언어의 천재 안애리 선교사 수정으로 오늘 우리가 부르는 가사가 탄생한 것이다. 

 

《찬숑가, 1908》186장

 

이 찬송은 엄청난 슬픔을「주님 사랑의 시」로써 이겨낸, 병약한 한 여인의 승리의 노래다. 갓난아기와 4 살배기 아기를 전염병으로 잃고 망연자실해 있던 엘리자베스 프렌티스(Elizabeth Payson Prentiss, 1818-1878) 여사는, 신학교 교수인 남편 조지 프렌티스(George Lewis Prentiss, 1816- ?) 목사의 신앙에 찬 위로를 받으며 병석에서 이 시를 썼다.

 

 1절

More love to Thee, O Christ, more love to Thee!             내 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       

Hear Thou the prayer I make on bended knee.                 엎드려 비는 말 들으소서.       

This is my earnest plea: More love, O Christ, to Thee;     내 진정 소원이 내 구주 예수를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더욱 사랑, 더욱 사랑.            

 2절

Once earthly joy I craved, sought peace and rest;             이전엔 세상 낙 기뻤어도        

Now Thee alone I seek, give what is best.                        지금 내 기쁨은 오직 예수        

This all my prayer shall be: More love, O Christ to Thee;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더욱 사랑, 더욱 사랑.            

3절

Then shall my larest breath Whisper Thy Praise                 이 세상 떠날 때 찬양하고      

This be the parting cry My heart shall raise                       숨질 때 하는 말 이것일세       

This still its prayer shall be; More love, O Christ to Thee;    다만 내 비는 말 내 구주 예수를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더욱 사랑, 더욱 사랑.           

 

어쩌면 주님께 이렇게 사랑의 고백을 할 수 있을까? 

나는 잠자리에 누울 적마다 CD로 이 찬송가를 들으며 주님께 나도 이 사랑의 고백을 한다.

 

 

작사자 엘리자베스 프렌티스 부인

 

 

작사자 엘리자베스 프렌티스(Elizabeth Payson Prentiss, 1818-1878) 부인은 1818년에 미국 메인주 포틀랜드(Portland)에서, 감독파교회 목사 에드워드 페이슨(Edward Payson)의 8남매 (두 자녀는 어려서 세상을 떠났다) 가운데 다섯 번째로 출생하였다.

 

그의 가정은 철저한 청교도 신앙가정으로서 복음주의적 신앙으로 박애정신과 선교열이 넘치는 가정이었다. 엘리자베스는 어려서부터 감수성이 예민하고 예의바르고 동정심이 많은 아이였다. 이런 그의 성품이 그로 하여금 아동문학가가 되게 하여, 어린이 서적은 물론, 가정과 친구들에게 보내는 따뜻하고 희망적인 책을 내는데 도움을 주었다.

 

엘리자베스는 젊어서「젊은이의 벗」"The Youth's Companion," 이라는 잡지를 내면서 동화와 동시를 써서 출판하였고,「뉴잉글랜드종교잡지」'New England religious periodical' 이라는 잡지도 내었다. 1838년 그는 자기 집에 조그마한 여학교를 개설하고「안식일학교 학급」'Sabbath-school class' 를 운영하기도 하였다.

 

 2년 후, 버지니아의 리치몬드로 이사하여, 소녀 기숙학교 사감이 되었다. 1845년에 엘리자베스는 절친한 친구의 오빠인 조지 프렌티스(George Lewis Prentiss)와 사랑의 편지를 나누다가 결혼하였다. 그들은 매사추세의 베드포드에 정착하여, 남편은 남(南)삼위일체교회(South Trinitarian Church) 담임목사가 되어 교구 성도들과 행복한 나날을 보내었다. 자녀도 낳았다. 그러나 1856년, 심한 전염병이 유행할 때 갓난아기와 4 살배기 아기를 한꺼번에 잃고 망연자실해 있던 프렌티스 부인은, 청교도 전통의 깊은 신앙과 주님 사랑으로 이를 극복하고 시를 썼다.

 

아내가 죽은 지 11년인 1889년에, 남편은 아내의 이 시를 발견하고 낱장으로 인쇄하여 발표하였다. 찬송가 작곡가 하워드 돈(W. Howard Doane, 1832-1915)이, 이 시에 저 아름다운 곡을 붙여 1870년에 출판한《헌신의 노래》'Songs of Devotion, 1870' 379장에「주님, 더욱 사랑합니다」'MORE LOVE TO THEE'라는 곡명으로 발표한 것이다.

 

 

 

《헌신의 노래》'Songs of Devotion, 1870' 379장

 

그런데 초판에는 4절까지 있는데, 《미국감리교 찬송가, 1878》'Hymnal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ith Tunes, 1878' 725장에서 3절을 빼고 출판하자 그 후 모두들  3절을 빼었다. 《미국 장로교 찬송가》333장에는 이 찬송이 4절까지 있는데, 사용 곡조는 BETHANY, '내주를 가까이' 곡조이기 때문에 언더우드 선교사는 부득이《감리교 찬송가》 725장에서 번역한 것이다.

 

1절은 내 진정 소원이 내구주 예수를 더욱 사랑이요,

2절은 세상 낙을 기뻐했지만, 지금 내 기쁨은 오직 주님이란 고백이다.

3절은 행복한 가정에 찾아온 불행과 슬픔과 병고(病苦)에 대한 노래로서 그러한 아픔중에도 주님이 노래를 주셨으니 감사합니다란 신앙고백이요,

4절은 이 세상 떠날 때도 찬양하며 숨질 때 내 노래도 주님 사랑이란 고백이다.

그런데 3절을 빼다니…! 도로 살려야 한다.

이 기회에 3절을 소개하고 먼저 번역과 같은 패턴으로 운율에 맞춰 번역해본다.

 

3절

Let sorrow do its work, Send grief and pain ;          근심과 아픔이 괴롭힐 때     

Sweet are Thy messengers, Sweet their refrain,      주님께 찬송을 드립니다       

When they can sing with me, More love , O Christ!  그 때도 내 노래 내 구주 예수를 

More love to Thee, more love to Thee!                  더욱 사랑, 더욱 사랑!   

 

 

작곡자 하워드 돈

 

이 찬송 작곡자는 미국인 하워드 돈(W. Howard Doane, 1832~1915)이다. 하워드는 우드스톡 아카데미(Woodstock Academy)에서 음악을 공부하여 2년 만에 작곡집을 낸, 음악의 재능이 탁월한 사람이다. 그는 고등학교 졸업 무렵 예수를 믿고 침례교회에 출석하였다. 제재기계상사에 취직하여 그 회사 사장이 될 정도로 사업에도 능하였다. 그래서 음악을「부업」이라고 그는 말했지만, 2천 곡 이상의 찬송을 작곡하였다. 특히 패니 크로스비와 친밀하여 두 사람 합작 찬송이 가장 많다. 그는 오하이오 주에 있는 마운트오번침례교회(Mount Auburn Baptist Church)의 주일학교 부장과 찬양대 지휘자 일을 맡아 성실히 일하였다. 그는 죽기 전 많은 유산을 사회에 환원하여 시카고에 돈 기념음악당 (The Doane Memorial Music Building)이 건설되었다.

 

돈 기념음악당 (The Doane Memorial Music Building)

  출처 : http://blog.daum.net/osowny/15970593